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품절


스티븐 킹의 창작론 <유혹하는 글쓰기> 한마디로 재미있고 매우 유익한 책이다.

작가로서 성장하게 된 이야기를 담은 이력서는 궁핍했던 어린 시절의 실수를 통해 글쓰기에 눈 떠 간 과정을 배꼽 잡을 만큼 박진감 있게 보여 주고 있다. 그의 글을 최초로 읽어 주는 어머니의 격려로 글쓰기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킹은 “작가의 기질은 타고 나는 것이지만, 보통 사람들도 적어도 조금씩은 문필가의 재능을 갖고 있으며, 그 재능은 더욱 갈고 닦아 얼마든지 발전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고 했다.

연장통에서 글쓰기에 최선의 능력을 발휘하려면 연장들을 골고루 갖춰 놓아야 한다고. 어휘력, 문법, 문체 등을 갈고 닦아 놓고 쓸 수 있어야 된다.

창작론에서 소설이란 땅 속의 화석처럼 발굴되는 것이라고 믿는다. 소설은 이미 존재하고 있으나 아직 발견되지 어떤 세계의 유물이다. 작가가 해야 할 일은 자기 연장통 속의 연장으로 각각의 유물을 최대한 온전하게 발굴하는 것이다. 또 소설의 소임은 거짓의 거미줄로 이루어진 이야기 속에서 진실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소설 창작이란 어떤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이라는 것이라고 한다.

인생론에서 이 책을 쓰는 동안 겪은 심한 교통 사고를 실감나게 들려준다. 거의 죽을 뻔한 상황에서도 절망의 얼굴에 침을 뱉는 자세로 글쓰기를 계속 해 오게 했는지 모른다. 궁극적으로 글쓰기란 작품을 읽는 이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아울러 작가 자신의 삶도 풍요롭게 해준다고 하면서 글쓰기의 목적은 살아남고 이겨내고 일어서며, 행복해지는 것이라고 한다.

글은 정리가 잘 된 생각으로 글을 쓸 땐 문을 꼭 닫고 쓰고 고칠 때는 문을 활짝 열어 놓고 써야 한다고 의미심장하게 조언하고 있다.

유혹하는 글쓰기란 남을 유혹할만한 인생의 경험과 진지한 삶의 자세에서 나오는 것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