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병에 걸리는가 - 다윈 의학의 새로운 세계
랜덜프 네스.조지 윌리엄즈 지음, 최재천 옮김 / 사이언스북스 / 199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의 의학의 한 학파로 등장한 다윈 의학의 창시자인 저자들도 '가끔 치료하고, 자주 도와주고, 언제나 위로한다.'라고 의학의 목표는 언제나 그랬듯이 (그리고 우리가 믿는 것처럼 앞으로 그래야 하듯이) 환자를 돕는데 있다고 하고 있다.

우리를 노쇠로부터 구원해 줄 약이나 운동 또는 식이요법을 찾으려고 추구하기보다는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어떤 나이에서든 활기차게 생활하려고 노력하는 편이 낫다. 언젠가는 영생에 대한 집착이 가능한 한 충만한 삶을 누리려는 희망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신체는 손상되기 쉬우면서도 강인하다. 다른 모든 진화의 산물과 마찬가지로 우리 몸도 때로는 이롭고 때로는 질병에 취약성을 보여주는 수많은 타협들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취약성은 자연 선택이 오래 지속된다 하더라도 절대 없어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연 선택이 바로 만들어 낸 힘이기 때문이다.

진화적 가설들 역시 지질학적 가설과 마찬가지로 현존하는 기록에 나타난 이용 가능한 증거들을 설명하고 미처 발견하지 못한 기록들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예견함으로써 검증된다.

질병은 궁극적으로 과거의 자연 선택에 의해 생겨났다. 역설적으로 우리를 질병에 취약하게 하는 메커니즘이 때로는 우리에게 이득을 주기도 한다. 고통을 겪는 일도 유용한 방어 작용일 수 있다. 자가면역 질환은 인체가 외부 침입자를 공격하는 탁월한 능력을 갖고 있는 것에 대한 대가이다... 노쇠나 죽음조차도 그저 어쩌다 생겨난 것이 아니라 유전자를 최대한 후세에 전파시키기 위한 목적에 맞도록 자연 선택에 의해 타협된 결과이다.

인체와 끊임없이 변이를 하며 인체를 공격하는 미생물의 끝없는 군비 경쟁이었다고 진화의학은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