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흑산 - 김훈 장편소설
김훈 지음 / 학고재 / 2011년 10월
평점 :
김훈의 신작 <黑山>의 후기 중 일부분이다.
나는 흑산에 유배되어서 물고기를 들여다보다가 죽은 유자儒者의 삶과 꿈, 희망과 좌절을 생각했다. 그 바다의 넓이와 거리가 내 생각을 가로막았고 나는 그 격절의 벽에 내 말들을 쏘아댔다. 새로운 삶을 증언하면서 죽임을 당한 자들이나 돌아서서 현세의 자리로 돌아온 자들이나, 누구도 삶을 단념할 수는 없다.
누구도 단념할 수 없는 삶,이라니. 이 대목을 중얼거리며 소설 속 인물들을 하나하나 복기했다.
이내 누구도 단념할 수 없는 삶,이라는 말에 가로막혀 한 발도 더 나아갈 수가 없었다. 말의 낭떠러지 앞에서 상념들이 거침없이 풀렸다.
남풍이 부는 초겨울의 해안가를 벗어나 흑산으로 들어가는 약전에게 뭐 그리 큰 희망이 남아 있었을까, 상복을 입고 배론으로 떠나는 안개 자욱한 새벽 황사영에게 기약할 날들이 있었을까, 제 목숨 하나를 위해 염탐하고 밀고하는 박차돌에게 얼마나 큰 영광이 준비되어 있었을까, 군소리없이 약전을 받아들이는 순매의 몸에는 또 어떤 열락이 허락되었을까, 그럼에도 고등어나 날치나 게처럼 누구도 단념할 수 없는 삶이라니. 기막히고 뒤숭숭한 마음은 절로 터져 누군가에게 따진다. 신기하게도 돌아오는 응답은 황사영이 무릎 꿇고 바치는 기도문이었다.
주여 우리를 매 맞아 죽지 않게 하소서.
주여 우리를 굶어 죽지 않게 하소서.
주여 우리 어미 아비 자식이 한데 모여 살게 하소서.
주여 겁 많은 우리를 주님의 나라로 부르지 마시고
우리들의 마음에 주님의 나라를 세우소서.
주여 주를 배반한 자들을 모두 부르시고
거두시어 당신의 품에 안으소서.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저 기도문 안에는 낡고 무력하고 위압적인 세상이 고스란히 녹아있다. 그리고 기도문 밖에는 매 맞지 않고 굶지 않고 사람이 가축처럼 팔리지 않는 세상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서성이고 있다. 또한 새로운 세상은 노래같은 기도문을 타고 사람들의 가슴에 이미 세워졌다. 꼭 올 것만 같은 세상이고 반드시 와야만 하는 세상이 매 맞고 굶어 죽는 사람들의 마음과 마음을 이었다. 방울 세 개를 단 기발로는 어쩔 수 없는 마음들이 이미 차고 넘쳤음을, 때리는 사람도 맞는 사람도 알고 있었다. 누구에게나 분명하기에 두려운 세상이고 갈급한 기도문이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내게 돌아온 저 기도문이 나는 더 싫었다. 차라리
어서 맞아 죽게 하소서.
어서 굶어 죽게 하소서.
당신 보기에 이런 우리가 불쌍하거들랑 하늘을 움직이고 땅을 엎어서라도 우리를 구하소서.
그럼에도 주여 당신이 새로운 세상을 내어 줄 수 없거들랑
삶을 단념하는 우리를 기꺼이 품에 안으소서.
이렇게 고쳐서 기도하고 싶었다.
기도가 될 수 없는 말이고 말도 안되는 말이다.
책을 덮고 속표지에 그려진 '가고가리'라는 괴수의 그림을 보았다.
김훈이 시조새의 화석 사진을 보면서 그렸다는 괴수 '가고가리'는 어딘지 엉성하고 조악했다. 괴수는 태초로부터 하늘과 바다와 땅에 함께 있어야 할 풍경 같았지만 그럼에도 열외 존재처럼 느껴졌다. 모든 불행의 근원이 그림 한 장 안에 다 들어있는 듯 했다.
저리 생긴 것이 가고 또 가는구나.
가고 또 간다,라는 말이 그제야 눈물겨웠다.
처음부터 이 소설은 가고 또 가야만 하는 것들의 이야기였구나. 그러니 처음부터 함부로 가늠하고 휘저을 수 없는 이야기였구나. 뭐든 끝까지 가보지 못한 내가 끝도 없이 가는 것들의 속내를 짐작이나 할 수 있었을까. 억압적이고 불평등한 세상에서 문학이라도 불온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 마음이 무참했다. 끝까지 버텨보지 못한 나는 말도 마음도 아꼈어야 했는데 후회는 늘 이렇게 아무런 힘이 없다.
눈 앞에 흑산이 보이고 해안에서 무심히 생선의 아가미를 들여다보았을 약전의 얼굴이 떠올랐다. 내심 나도 그렇게 가고 갈 수 있으면 좋겠다 싶다. 명확하지 않은 것들을 어설프게 떠들지 않고 어줍잖게 휘젓지 않으며 그렇게 가고 또 가면 좋겠다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