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버리기 연습 생각 버리기 연습 1
코이케 류노스케 지음, 유윤한 옮김 / 21세기북스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우리를 지배하는 쓸데없는 생각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법이다. 가끔 이런 말을 듣는다. "저 사람은 생각이 깊다.", 이는 좀 더 합리적으로 현실감을 잃지 않는 배려와 타인을 위한 친절함을 함축한 말이다. 불필요한 생각이 많다는 것과는 다르다. 


 생각에도 옥석이 있다. 관계의 정도에 따라 각각의 선이 있다. 이 책에서는 내외부의 감각작용으로(오감) 생각의 발생과 처리 그리고 외부적인 행동까지의 메카니즘을 말한다. 어떤 과정을 통해서 생각이 발현되고 처리되는가를 현상학적으로 말한다. 저자는 일본인 스님이다.


 "사람은 하루 종일 생각을 하며 지낸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 사고하는 것은 인간의 휼륭한 특질이고, '인간은 동물과 달리 생각하기 때문에 위대하다'고 믿는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지나치게 생각이 많기 때문에 집중력이 떨어지고, 불안해하고, 망설이는 것은 아닐까? 저자는 이런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병'이 되기도 하는 인간의 생각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대인 울렁증이 있는 사람들은 왜 사람들 앞에서 발표만 하면 긴장하는 것일까? 대중에 대한 많은 번뇌에서 비롯된다.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생각을 한 나머지 긴장하게 된다. 우리는 타인에 대한 자신의 여유감을 잃지 말아야 한다.


 사람의 행위는 자유의지에 기반한다. 오른손으로는 젖가락을 잡고 왼손으로는 휴대폰을 보며 식사를 한다. 업무 외 자유시간에 필요한 정보를 보는 현대인의 모습이다. 또한 서서 식사를 해야하는 사람도 있다. 


 저자는 식사 동작 하나하나에 집중하라고 권장한다. 음식을 입에 넣을 때에는 입 안과 혀에 닿는 촉감을 천천히 느껴보라고 한다. 손에 수저를 내려놓고 입안의 음식을 씹으면 먹는 것에 집중되어 음식의 본 맛을 제대로 느끼며 소화력을 높 일 수 있다고 한다. 즉 음식에 집중하여 다른 생각을 버릴 수 있다는 의미다.


https://blog.aladin.co.kr/gigo/147349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머니, 그만 집으로 돌아가세요
벤 몽고메리 지음, 우진하 옮김 / 책세상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엠마가 길을 떠나기 93년 전인 1862년 6월에 이미 이런 현상을 애견했다. <<애틀랜틱 먼슬리>>에 발표된 <산책,>이라는 글에서 소로는 이렇게 이야기했다. '오늘날 이렇게 서로 부대끼며 살고 있는 상황에서 땅이 주는 가장 고마운 점은 그것이 누군가의 소유가 아니라는 것이다. 풍경의 주인은 없으며 사람들은 누구나 걸어서 그 자유를 만끽 할 수 있다. '


 어느 늦은 봄, 마당의 꽃들이 만개했을 무렵 그녀는 짐을 꾸려 오와이오 주의 갈리아 카운티 (Gattia County)를 떠났다. 갈리아 카운티는 평생 살아온 곳들 중에서 고향이라고 부를 수 있는 유일한 곳이었다. 


 엠마는 마침내 자리에서 일어섰다. 운동화 끈도 단단히 묶었다. 날짜는 1955년 5월 3일, 세상에서 제일 길게 이어진 도보여행길이라는 애팔래치아 트레일의 남뽁 출발점 산꼭대기에서 엠마는 눈앞에 펼쳐진, 하늘에 맞닿은 검푸른 지평선 위 봉우리들을 마주했다. 그 밑에 있는 성난 강들과 위험천만해 보이는 바들의 험악한 풍경을 바보며 서 있는 사람은 여성이자 열한 명의 자녀들과 스물세 명의 손자 소녀들을 거느린 어머니이자 할머니였다.


https://blog.aladin.co.kr/gigo/14918926

https://story.kakao.com/kelix/g59HezqhVb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 불면 다시 오리라 - 소설 법정
백금남 지음 / 쌤앤파커스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작가는 법정 스님이 열반하시기 5년 전부터 스님의 일대기를 쓰기 시작하였다. 끈질긴 추적 끝에 23편의 초기작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23년의 초기작은 법정 스님이 1963~1969년에 쓴 글로, '소소산인'이라는 필명과 "법정"이라는 이름으로 기고한 작품들이다(개인적으로 법정이라면 정다운 스님의 책이 생각난다). 초기작에서 젋은 수행자의 내면세계를 짐작게 한다. 이 책은 각 꼭지가 연결되는 소설형식을 취하고 있다. 


 "어느 날 그분이 내게 와 물었다. 나는 모두 버렸는데 왜 나를 가지려 하는가. 내가 대답했다. 스님은 왜 살아 중생을 가지셨습니까? 왜 그들의 마음을 훔치고, 그들의 가슴속에 들어앉으셨습니까? 그래서 거두어 간 것이 아닌가. 그 거두어 감의 세계를 바로 쓰려는 것입니다."


 '수녀의 출가', '너의 발을 씻어주마', '어머니', '수류산방', '불 속에 피는 꽃' 외 글을 연휴가 시작되는 첫 날에 읽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특별판) - 로버트 오펜하이머 평전
카이 버드.마틴 셔윈 지음, 최형섭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펜하이머는 1904년 4월 22일에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미국에 정착하기 위해 노력하는 독일계 이민 1세대와 2세대 출신들었다. 뉴욕에 자리잡은 가족은 유태인이었지만 인종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유태인이었지만 유태교 회당에는 나가지 않았다. 그들은 스스로 유태인임을 부인하지 않았지만, '윤리 묺화 협회'라는 합리성과 진보적이고 세속적인 인본주의를 강조하는독특한 미국식 유태 신앙 조직 안에서 그들의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 갔다.


 1909년, 오펜하이머가 5세 때 율리우스는 그와 함께 처음으로 독일에 있는 할아버지 베냐민을 만나러 유럽으로 여행을 갔다. 그들은 2년 후에 다시 독일을 방문했는데, 당시 할아버지 베나민은 75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오펜하우머에게 강한 인사을 남겼다. 오펜하이머는 "할아버지는 학교에 거의 다니지 않았지만, 분명히 독서가 인생의 가장 큰 기쁨 중에 하나였다."라고 회고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사랑한 빵집 성심당 - 모두가 행복한 경제
김태훈 지음 / 남해의봄날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를 가진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생존 가능성이 높다. 이야기가 일치를 만드고 협동을 이끌어 내기 때문이다. 특히 위기 상황에서 이야기는 그 진가를 드러낸다. 위기가 닥쳤을 때 이야기는 집단을 결속시키고 마침내 위기를 극복하는 힘이 된다. 이야기는 '우리, 공동체'를 확인시켜주고 협동의 이유를 찾아 준다.도시가 뚜렷한 자기 이야기를 갖고 있으면 시민은 자긍심과 연대감을 갖는다.


 특히 대전에는 밀가루가 풍족하여 상대적으로 제과점 숫자가 많았다. 미국의 원조와 미군 부대에서 반출된 것들 외에도 대전 이름이기도 한 한밭에서 전통적으로 밀을 많이 재배했다. 1960, 70년대에 진행된 서해안 간척 사업 때에는 노임을 밀가루로 공급하기도 했다. 대전에 유독 칼국수집이 많은 것도 이처럼 넉넉한 밀가루 덕분이었다."


 1980년 5월 20일, 단팥빵과 소보로, 도넛의 3단 합체품 튀김소보로가 성심당 매장에서 튀겨지기 시작했다. 시각과 청각, 그리고 후각까지 총동원한 기다림은 바로 구매로 이어졌다. 대전 성심당은 군산 이성당서울 나폴레옹전주 PNB풍년제과부산 비앤씨와 함께 한국의 5대 빵집으로 꼽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