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이름은 타이크 ㅣ 창비아동문고 237
진 켐프 지음, 햇살과나무꾼 옮김, 오승민 그림 / 창비 / 2008년 1월
평점 :
타이크, 이 녀석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더벅머리와 주근깨, 입술 한쪽끝만 씩 올려 웃음짓고 있는 표지의 얼굴만 봐도 '나는 말썽꾸러기 악동이오'하는 듯 보인다. 역시나, 타이크네 학교 화장실 건물 꼭대기 다락에 올라가본 학생은 학교 전체에서 타이크 뿐이고, 교장선생님방에 자주 불려다니는 학생도 타이크이고, 진흙탕에 더껑이가 낀 더러운 물 속에 텀벙 들어가는 아이도 타이크이며, 버려져 음산해진 공장에 들어가 비밀의 방을 만들어놓은 아이도 타이크.
[내 이름은 타이크]라고 했건만, 이 책의 화자인 타이크는 자신의 진짜 이름을 절대로 말하지 않는다. 그 이름이 너무 싫댄다. 가장 친한 친구인 대니도 당연스레 타이크라고 부르는 걸 보면 아마 진짜 이름이 되게 웃기거나 엉뚱한 것인가보다라고 짐작만 할 따름이다. 어린애들 사이에선 이름 가지고 놀리는 일들이 더러 있으니까.
이름이야 어쨌거나. 말썽꾸러기 악동인 타이크, 그리고 그의 가장 친한 친구이자 지능이 조금 모자라는 듯 보이는 대니, 이 두 녀석이 보여주는 끈끈한 우정이 참으로 가상하다. 언뜻 보면 타이크가 대장노릇을 하고 대니가 쫄병노릇을 하는 것 같아도, 남들 눈엔 불쌍하고 안 된 아이로만 비춰지는 대니를 아무런 가식이나 동정 없이 순수하게 진짜 친구로 생각한 타이크. 그러하니 대니를 위해서 돈을 대신 감춰주고, 진흙탕에도 들어가고, 교장선생님에게 '거래'를 청하지 않았던가. 가장 재미있었던 에피소드는 시험지 사건이었는데, 비록 방법은 잘못되었을지언정 대니와 같은 학교로 진학하고 싶었던 타이크의 마음만은 참 예뻤다.
이 이야기의 가장 충격적이고도 의외였던 결말부분은 아마 이 책을 읽는 독자 누구라도 경악(!)을 금치 못할 듯. 이야기에 푹 빠져 미처 생각지도 못하는 사이에 불쑥 드러나는 그 결말에선 크게 한 번 뒷통수를 맞는 기분일 정도다. 그런데도 그 쾌감이란! 이 글에서 결말을 밝히지 못하는 게 내심 아쉽지만, 다른 독자의 쾌감을 뺐지 않기로 했다. 모쪼록 즐거운 독서 하시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