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벼랑 - 중학교 국어교과서 수록도서 ㅣ 푸른도서관 24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큰아이가 초등학생이라 중고등학생들, 흔히 '요즘 애들'이라고 불리우는 청소년에 대해서 나는 별로 아는 바가 없다고 해야 맞다. 처절할 정도로 공부해야하는 아이들, 오로지 공부만 하거나 완전히 안 하는 두 부류로 나뉜다는 아이들, 바른 아이가 있는가 하면 때로 어른의 상상을 넘을 정도로 나쁜 아이들도 있다는.. 대략 이 정도로 정리할 수 있는 나의 '요즘 애들'에 대한 정보는 [벼랑]을 통해 새발의 피였음을 알았다. 그만큼 충격적이었다는 이야기.
이금이 작가가 쓴 단편집이다. 뭐랄까.. 이 작가의 동화에서처럼 [벼랑]은 날카로움이나 긴장됨과는 거리가 멀지만, 작정하고 썼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해야할까.. 그랬다. 내겐 워낙 충격적인 이야기이기도 했기 때문이겠고, 작가가 후기에 쓴대로 자신이 자녀들을 키우며 겪었거나 보았거나 들었던, 또는 그랬던 경험을 바탕으로 충분히 상상해낼 수 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인 것 같다. 그래서 정말 사실인 것처럼 느껴지고(정말 사실인가보다), 그래서 더 놀랍고 더 가슴 아프다.
이 책에 실린 다섯 편의 단편 중 표제작인 <벼랑>이 가장 쇼킹했다. 원조교제를 하는 중고생이 있다는 건 그리 새삼스럽지 않지만(?), 어찌어찌 원조교제에 빠져버린 주인공이 급기야 자기 살자고 한 짓을 보니 경악할 수 밖에 없었다. 이렇게 기가 막힌 스토리뿐 아니라 주인공의 심리묘사, 등장인물들의 캐릭터, 빠른 템포로 벌어지고 사그라들기를 반복하는 여러 상황들의 묘사까지, 길지 않은 분량에서 참 잘 소화해냈다는 생각. 내 마음에 가장 흡족한 단편이다.
<바다 위의 집>은 도입부터 신선했다. '이상한 애'라고 불리는 주인공의 작문은 당돌하지만 구구절절 맞는 소리여서 나까지 통쾌한 느낌이 들었으니 곧장 이 단편의 매력 속으로 풍덩. 이어지는 '이상한 애'의 이상한(?) 행보. 과연 누가 무슨 기준으로 '이상하다'고 하느냐를 역설하고 있음을 쉬 느낄 수 있으나, 동시에 내가 가진 기준에 자신이 없어져 한참동안 머리가 복잡했음을 실토할 수 밖에 없다. 또 이상한 주인공의 블로그 친구 이야기는 그렇다 쳐도, 그 친구의 엄마를 향해 내지르는 주인공의 뼈있는 폭언이 마치 나를 향한 듯 놀란 가슴을 진정시켜야 했고..
그래도 희망적인 메시지를 품고 있는 <초록빛 말>, <생 레미에서, 희수>, <늑대거북의 사랑>은 편안한 마음으로 읽어간 재미있는 단편들. 요즘 청소년들의 이런 저런 다양한 모습이 투영되었고, 그것을 신기해하며 때로 배워가며 즐겼다.
손에 쏙 들어오는 얇은 편인 이 책 [벼랑]. 물론 허구의 소설이지만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요즘 애들의 모습이 쇼킹했고, 이 현실이 안타까운데도 내가 뭘 어찌해야 하는지 알 수 없어 답답했다. 이 이야기가 정말 사실이라면.. 우리 아이들은 언제쯤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 아, 어렵다. 정말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