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혹하는 글쓰기 - 스티븐 킹의 창작론
스티븐 킹 지음, 김진준 옮김 / 김영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워낙에 유명한 책인줄은 알고 있었지만, 창작 글쓰기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도 없었을 뿐더러, 글쓰기라는 것이 배워서 되는 일이던가, 타고나야 하는 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던지라 읽어볼 생각은 안하고 있었다. 사실 책표지가 맘에 안 들어서 덥석 물게 되지 않았던 면도 있는데(김영사 표지는 10의 8은 맘에 안든다), 그래도 아예 안 읽을 생각은 아녔던지 보관함에 오래 있었던 책이다. 그리고, 얼마전 알라딘 5만원이상 2천원 적립금을 받겠다고 비는 몇 천원을 채워넣으려 보관함을 헤매고 다니다가 결국 이 책을 집어넣었다.

 

그런데, 무슨 책이 이렇게 재밌담? 뻔하고 지루한 잔소리만 늘어놓을 줄 알았더니, 역시나 내놓는 소설마다 밀리언 셀러가 되는 작가답다. 이런 실용서에서도 속도감은 소설책을 읽을 때 못지 않다. 

 

우선 처음의 우려, '글쓰기가 배워서 되는 것이던가?'에 대해 답을 해보자면, 어느 정도는 분명히 가능하다는 것이다. 작가를 형편없는 작가, 괜찮은 작가, 훌륭한 작가, 위대한 작가로 크게 나눌 수 있을텐데, 괜찮을 작가에서 훌륭한 작가정도로는 발전할 수 있다는 얘기다. 위대한 작가는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타고나는 것이니 언감생심 넘보지 말라는 진실도 빼놓지 않는다. 어차피 싹수가 노란 형편없는 작가도 가차없이 내다버린다.  

 

대략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자신은 어떻게 소설을 쓰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이력서'.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연장들(어휘, 문법, 문장, 문단)을 설명하는 '연장통'. 그리고 어떻게 써야 하는가라는 방법론적인 설명 '창작론'. 그리고 에필로그처럼 덧붙여쓴 글쓰기에 대한 '인생론'.

 

이력서는  그것만으로도 한편의 소설같았다. 이야기로 풀어서 그렇기도 했고 내용자체만으로도 지어낸 소설 같았다. 한마디로 파란만장. 연장통에서는 긴이야기는 안 한다. 다른 글쓰기 강의에서 많이 들었을 이야기들이 겹쳐질거라 생각해서일지도 모르겠다. 아니면 내가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어서 대충 읽었거나. ^^ '창작론'이 스티븐의 개성이 가장 잘 드러난 부분이라 생각한다. 글을 쓸 때 대부분, 글의 얼개를 짜고 풀어나갈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상황 위주로 직관에 따라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는 방식이 신선했다. 자기자신도 이야기 속 등장인물들이 어떻게 될지 모르면서 같이 그려나가는 재미랄까. 반은 독자이고 반은 작가인 상태. 아주 그럴싸하다. 이외에도 자신의 작업방식을 세세하게 단계별로 얘기해준다. 사람마다 방식은 다르겠지만, 휼륭한 작가의 작업방식을 따라가보는 것만으로도 신났고 내겐 꽤 설득력있게 들렸다.   

 

소설같은 순수창작은 나의 영역이라 생각지도 않기 때문에 관심없지만, (오우~ 내 생각엔 여전히 휼륭한 작가도 (어느 정도는) 태어나는 것 같다. ㅋㅋㅋ) 글쓰기는 나도 해야하는 일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구 부족하다는 걸 요즘 뼈저리게 느끼는지라, 도움될만한 것들을 정리해본다. 기억나는 것만 쓰니, 아래 문장이 원문과 100%일치하지는 않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파악한 의미위주로 남겨본다.

 

 

"많이 읽고, 많이 써라. 지름길은 없다."

"진실을 말해라. 자신의 작품에서 정직해라."

"부사를 죽여라. 작가나 독자 누구에게도 도움이 안된다."

(부사를 덧붙이는 건 작가가 자신이 없거나 게으르거나 어휘력이 부족해서다. 속도감도 저어한다)

--> 다른 책을 읽다가 알게된 사실인데, 영어는 한국어보다 정적인 단어라서 동사보다는 명사를 많이 쓴다고 한다. 따라서 명사를 꾸미는 형용사가 동사를 꾸미는 부사보다 훨씬 더 발달되어 있므로 그렇게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영어라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스티븐 킹이 한 '부사를 죽여라'고 한 말은 한국어로 글을 쓸 때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얘기는 아니다.  

"결국은 이야기다! 플롯에 얽매이지 마라."

"플롯대신 상황을 설정하고 떠올리면 이야기는 따라 나온다."

"초고를 쓸 때는 (외부의) 문을 닫고 들어가서 써라. 초고를 쓴 후 최소한 6주 정도는 묵혀라. 다시 읽고 그 때야 (외부의) 문을 열어 소통하라"

"가상을 독자를 정해놓고 써라"

 

 

많이 써라!를 실천하겠다고 어제밤에 끝낸 책에 대한 감상을 부랴부랴 쓰고 있는데, 책을 옆에 갖다놓고 꼼꼼하게 인용도 해가며 인상깊어 밑줄쳤던 부분도 다시 한번 읽어봐가며 정리하지 않고 이렇게 부실한 내 기억력에 의존해서 막!! 쓰고 있다. 많이 쓰라!는 건 이렇게 막쓰는 걸 의미하는 건 아닌 것 같은데. +..+ ㅎㅎㅎ

 

 

*'쓰라'와 '써라'의 차이

'쓰라'의 '-라'는 문어체에서 쓰는 명령형의 종결어미입니다. 이 어미는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의 어간에 붙어 '마시라, 달리라'와 같이 쓰입니다.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에는 '먹으라, 입으라'처럼 '-으라'가 쓰입니다. 이러한 문어체는 일상생활에서 말할 때에는 잘 쓰이지 않습니다. 일상생활에서는 '마셔라, 달려라, 먹어라, 입어라'와 같이 '-어라'의 명령형 어미들을 쓰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결국 문제를 기술할 때 '쓰라'라고 해야 하는지, '써라'라고 해야 하는지는 문어체의 어투를 사용할 것인가, 구어체의 어투를 사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라고 하겠습니다. 어느 것을 쓰더라도 규범적으로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다만 문제 기술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다른 유형의 말들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는 생각합니다.

 

'(관계있는 것끼리) 이으라/이어라', '(그래프를) 그리라/그려라', '(알맞은 답을) 고르라/골라라', '(다음 물음에) 답하라/답하여라' 등은 시험 문제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형들인데 일관성 있게 어느 한 가지로 통일하여 쓸 필요가 있습니다.

 

어느 것으로 통일할 것인가 하는 것은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이지만, 일상생활에서의 말과 달리 문제 기술을 글로써 대화하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구어체보다는 문어체가 더 바람직한 형태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따라서 '써라'보다는 '쓰라'로 쓰고 다른 형태들도 이에 맞추어 쓰는 것이 더 좋겠습니다

-국립국어원 제공-

댓글(5)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2-02-14 14: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괜찮지요?
저도 읽으면서, 역시 스티븐 킹이구나 했어요.

사실 전 한때, 스티븐 호킹과 스티븐 킹이 헛갈렸어요.
그 유명한 물리학자가 이런 소설도 써? 머 이런 식으로요... 헤헤.

북극곰 2012-02-15 08:54   좋아요 0 | URL
ㅎㅎㅎ 저도 그런 오해를 했더랬어요! ㅋㅋ

근데, 이 책을 읽으니 정말 휼륭한 작가든 왠만한 작가든 작가라는 사람들은 태어나는 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능. ㅎㅎ

차트랑 2012-02-14 16: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뇨~고양이님, 쩜 귀욤~ ㅠ.ㅠ

저는 시험을 출제하면서
써라 혹은 쓰라 라는 발문을 사용한 선생님들에게
쓰시오~ 라고 고쳐오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ㅠ.ㅠ
학생들이지만 써라 혹은 쓰라보다는
'쓰시오'라는 말이 조금은 더
존중의 의미를 담고 있지 않냐는 그런 취지였답니다.

'쓰라'와 '써라'도 좋지만
'쓰시오~'라고 통일하는 것은 어떻겠습니까요??
쿠더덩~

쓰라로 하자고 하셨는데
태클을 걸어서 정말 죄송합니다 북극곰니임~ ㅠ.ㅠ
(그러나 추천은 기본 드렸습니다요 ㅠ.ㅠ)

북극곰 2012-02-15 08:55   좋아요 0 | URL
아, 그 차이가 궁금해서 제가 찾아봤더니요, 국립국어원에서 저렇게 차이점을 설명해줬어요. 제가 '쓰자'로 하자고 한건 아니구요. 저는 '쓰자'라고 할려니 연이어 쓴 " "안의 글들 중에서 "부사를 죽여라"도 '죽이라'라고 써야 일관성이 있을 것 같은데, 그건 영 어색해서 "써라"라고 쓰고 구어체로 모두 통일했답니다.

학교 다닐 때 국어가 젤 자신있었는데, 갈수록 어려워집니다. 갈고 닦아얄듯해요.
여기서 다른 분 이야기해서 그렇지만, 진*님은 참 우리말을 적절하게 잘 쓰시죵? ㅎㅎㅎ

차트랑 2012-02-15 17:15   좋아요 0 | URL
어구~
국림국어원에서 제공한 말씀이라는 것을 표시해주셨는데
제고 못봤습니다 ㅠ.ㅠ

우리말...진짜 어렵다니깐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