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알라딘도서팀 > 캐테 콜비츠의 책이 출간되었습니다.

캐테 콜비츠 (케테 콜비츠, Ka"the Kollwiz) 

1867년 프로이센의 쾨닉스베르크에서 태어났다. 1881년부터 미술 수업을 받기 시작했고, 베를린 여자예술학교 등에서 유화를 공부했다. 1891년 의료보험조합 의사인 칼 콜비츠와 결혼한 후, 무료로 가난한 노동자들을 진료하는 남편을 도우면서 판화작업에 몰두했다. 이후 사회적 이슈를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선구자라는 평가를 받으며 많은 활동을 벌였고, 1919년에는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프로이센 예술아카데미의 회원이자 교수로 임명되기도 했다.

1933년 히틀러가 집권하자 예술아카데미 탈퇴를 강요받고 개인전시회를 금지당했다. 이후 가택 수색, 게슈타포의 신문 등으로 힘겨운 말년을 보내다가 1945년 히틀러의 자살을 8일 앞두고 사망했다.




 

 

 

 

 

 

 

 

 

 

 

 

 

 

 

오랜만에 인사 드립니다. 모두 안녕하셨어요? ^^

오늘은 많은 분들이 좋아하시는 판화가 캐테 콜비츠에 관한 책 두 권을 소개합니다. 제목이 같아 조금 헷갈리네요. 편의상 왼쪽에 있는 운디네 출판사의 책을 <콜비츠 1>이라, 오른쪽에 있는 실천문학사의 책을 <콜비츠 2>라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

<콜비츠 1>은  지난 주에 출간된 책으로 케테 콜비츠가 남긴 일기를 주축으로 한 책입니다. 아들 한스가 콜비츠의 일기들을 편집해 펴내었는데, 연도순으로 묶지 않고 '부모와 형제', '사랑과 결혼' 등과 같은 주제를 두어 거기에 맞는 일기들을 모아 수록한 것이 특이합니다. 본격적인 일기에 들어가기 전 볼 수 있는 70여 점의 도판이 백미지요. ^^

<콜비츠 2>는 바로 어제 제 손에 들어온 책입니다. 실천문학사의 '역사인물찾기' 시리즈 2권인데요, 1991년 출간되었던 것을 이번에 개정판으로 새로 냈습니다. 역시 콜비츠의 그림과 사진 등 도판이 70여 점 실린 평전입니다. 일기와 편지, 논문 등등의 자료를 취합해 쓴 책이에요.

어느 책에선가 '죽은 아이를 데리고 있는 여자' 그림을 본 후 저는 콜비츠를 매우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그림에 메세지가 있어야 하느냐?"라고 물으신다면 "그...그런가요?;;;;"라고 멍청하게 대답할 수 밖에 없지만, 저는 무언가 전해지는 느낌이 있는 그림을 좋아합니다. 많은 분들이 역시 그러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런 제게 콜비츠는 마음을 파고드는 작가입니다. 그리고 그림에는 그의 삶과 생각이 담길 수밖에 없기에, 새롭게 읽는 콜비츠의 일생도 역시 마음을 파고 듭니다.

공교롭게도 두 권이 비슷한 시기에 출간되어 어떤 책을 고르는 게 좋을지 고민하시는 분이 많겠지요? <콜비츠 1>은 일기만을 묶은 책인만큼 재미는 덜할 수도 있지만, '격렬하고 예민하고 때로 전투적인' 콜비츠를 그대로 만나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콜비츠 2>에서는 보통의 평전들이 가진 장점 그대로, 많은 자료들을 취합해서 되살린 콜비츠를 만날 수 있고, 또 주변인물들 또한 객관적인 눈으로 바라볼 수 있어 좋습니다.

콜비츠가 판화가였던만큼 어느 쪽의 도판이 더 좋은가에 대해서도 궁금하실텐데요, (궁금해하실 것은 알지만 대답하기 난감합니다 ㅠ.ㅠ) <콜비츠 1>의 도판이 조금 더 좋은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책 크기에 있어서부터 차이가 있으니까요. (<콜비츠 1>이 <콜비츠 2>보다 가로, 세로 모두 4cm 가까이 더 큽니다.) 하지만 그리 큰 차이는 아니라고 덧붙이고 싶네요. 아, <콜비츠 1>에는 사진이 거의 실리지 않은 반면, <콜비츠 2>에는 콜비츠를 비롯한 가족들의 사진이 상당수 실려 있습니다.

평소 읽는 미술책에서는 거의 만날 수 없던 화가를 연달아 두 권의 책을 통해 만나서 무척 즐거웠습니다. 콜비츠를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이런 책들이 출간되었다는 것을 꼭 전해드리고 싶었어요. 콜비츠를 모르는 분들이라면 위의 그림을 한번 봐 주세요. 그리고 그런 아름다운 화가가 있었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

그녀의 관심사는 인간의 운명과 그 미래였다. 가족적 전통과 생활환경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운명이 무엇보다도 유물론적으로 결정된다고 느끼고, 그런 관점에서 자신의 소질을 닦아나간 콜비츠는 항상 구체적인 사회현실로부터 자신의 재능이 유리되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삶과 예술에서 언제나 권리를 박탈당하고 고통 받는 사람들 편에 섰으며, 수탈당하는 사람들의 진보적 투쟁에 동참하였다. 이러한 궤적을 - 물론 이것만이 전부는 아니다 - 우리는 그녀의 예술에서 만나게 될 것이다. - <케테 콜비츠 / 카테리네 크라머 지음, 실천문학사 펴냄> 본문 34쪽에서

-- 알라딘 이예린(yerin@aladin.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C 드라마나 O$N에서 해주는 공짜 영화를 자주 본다. 아무것도 하기 싫을 때 멍하니 누워서. 이렇게 다시다시다시 자꾸자꾸자꾸 보다 보면 모든 영화가 다 재미있어진다. 이 영화도 그랬다. 영화에는 아주 가혹한 평가를 내렸던 예전 같았으면 유치하다고 비웃고 던졌을 것 같은 영화인데, 오늘 보니 왠지  가슴 졸이고, 살짝 눈물까지 나는 거 있지. 나이가 들면 이렇게 되나 봐. 눈물이 너무 많이 지는 거지. ㅠ..ㅠ

최지우와 안재욱이 주연이네. 언제가 한 번 봤던 영화인데 그냥 최지우 하는 짓이 귀여워서 계속 봤다. 20대 후반이 되도록 키스 한 번 못해본 여기자 연화. 나이에 따라 발달 과업이라는 것이 있을진대, 그 나이 되도록 키스 한 번 못해봤다는 건 얼마나 스트레스 받는 상황일까? 허구헌날 '혹시 키스 안 해보셨어요?'라고 눈치도 없이 정곡을 찌르는 사람들의 농담들이 판을 치는 요즘 같은 '사회'속에서야 말이다.  결국 키스 못하는 연화는 참다못한! 남친에게서 실연을 당하고. 그리고 때맞춰 등장하는 신입사원 안재욱. 헤대대대면서 붙임성 있는 허풍이 귀엽다. 저 정도면 중국 애들이 넘어갈 만도 하겠는걸 하는 생각이 잠시 들기도 했다가... 쫙 붙은 그런 양복을 입고 나타나면 아니다 싶은 생각이 드는 거지. ^^

그렇잖아도 잘 삐지고 괴팍한 처녀 연화, 실연까지 당해 불편한 심기 앞에서 눈치없이 알짱알짱대는 안재욱은 다행히도 구박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명랑발랄청년. 그러나 알고보면 다치고 싶지 않은 자신의 보호본능이 그로 하여금 그렇게 오버하게 만드는 것. 이런 사람에겐 어쩌면 연화같이 뭉근하고도 솔직한 괴짜 여자친구가 어울린다. 모습은 정반대지만 사실 둘은  아주 똑같이 닮아 있다. 

안재욱, 연화가 쓴 안경을 벗겨보고 싶어서 못하는 포토샵까지 난리도 아니었다. '안경을 벗고다니라'고 집요하게 충고하는 안재욱. 실제로 영화에서 못생긴 여자들의 필수 악세서리는 안경이고, 어느날 그 주인공이 안경 하나만 벗어던지면 절세미인이 되어 다음날로 큉카로 등극한다.  혹자는 이런 '안경 벗기기'도 남성주의 시각에서의 포르노그라피라고 보기도 하는데 말이지... 씁...

어쨌거나 시간은 흘러... 우연히 같이 간 영화 촬영장소 그리고 엑스트라로 출연하게 되면서...쏟아지는 비를 피해 들어간 공중전화박스. 김서린 안경을 벗은 연화를 바라보다 얼어버린 안재욱 그리고 귓볼이 뜨겁고 등줄기가 싸해진 연화. '내가 왜 이러지?"라는 당황스런 내 감정의 확인. 참 아찔한 순간.  이쁘기도 하여라. 이제 사랑이 시작되는 거다. 아니, (본격적으로) 자신의 자각 하에 진행되는 거다. 그러면 이 때부터는 말도 제대로 안 나오고, 괜시리 둘만 있으면 할 말은 더 없어지고 그 사람 말 한마디 한마디가 새록새록 나의 일상으로 끼어드는 거지. 안경벗고 화장하고 나타난 연화처럼.

잡지사 동료들의 성적 농담과 편집장 부인의 과도한 아줌마끼, 50은 족히 되어 보이는 이모에게 키스상담하는 상황등등....좀 어설프고 썰렁한 설정들이 있긴 했지만, 두 사람의 감정선이 세세하게 잘 표현되었던 영화인 것 같다.  그런 면에선 두 주인공의 캐스팅도 아주 잘 되었다고 해야겠지.

간만에 영화를 보고 나더니 수다가 떨고 싶어졌던 거군. 그래서 주절거리면서 새로운 카테고리까지 만들었지 뭔가....이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