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관광지도 아니다. 외진 곳이라 얼씬거리는 사람도 없다. 종종 부둣가에서 애먼 낚시줄을 던지는 노인들만 있었다. 바구니에는 대개 풀 죽은 잔챙이만 두어 마리씩 들어있었다. 하늘도, 바다도 탁했고, 이따금 그 사이를 작은 배들이 물결로 무늬를 그리며 오갔다. 돌아보자 광장은 바다처럼 넓어서 더 을씨년스러웠다. 나는 하늘과, 바다와, 텅 빈 광장의 틈에 풍경처럼 앉아있었다.
1995년 이전 고베항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항구였다. 개항 이후 기름진 번영만 가득하던 이 곳을 괴멸적인 재해가 덥쳤다. 1995년 1월 17일 새벽 5시 46분. 리히터 규모 진도 7.2의 대지진이었다. 고베시에서만 4,484명의 사망자와 14,679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한신/아와지 지역 전체 사망자는 6,434명, 부상자는 43,792명에 달했다. 내전 수준의 피해였다.
보고체계는 원활히 작동하지 못했고, 부패한 일본의 관료들은 아침에 되어서야 뉴스로 사태를 접했다. 해외 봉사자들이 엿가락처럼 휘어진 철로와 땅 위로 누운 고가도로들을 헤치며 시민들을 구해내고 있었다. 세상은 아수라장이었고, 그 속에서 6,434명의 시민들은 영영 살아 돌아오지 못했다.
#. 2
내 옆에 한 청년이 앉았다. 세련된 셔츠를 입고, 멋드러진 수염을 길렀다. 하지만 나는 차마 그를 찍지 못했다. 바다에 누구를 묻은 걸까. 울고 있었다.
도덕경의 한 구절이 떠올랐다.
天地不仁 (천지불인) 천지는 어질지 않다.
以萬物爲蒭狗 (이만물위추구) 만물을 풀강아지처럼 다룰 뿐이다.
천지는 어질지 않다. 신은 선하지 않다. 자연은 인간의 편이 아니다.
야훼는 모세의 손을 빌려 수 없이 많은 이집트 백성을 도륙냈다. 여호수아는 가나안의 신민을 광야로 내 몰았고, 다윗은 숱한 블레셋 사람들을 쳐 죽였다. 이집트의 백성도, 가나안의 신민도, 블레셋 사람들도 모두 신의 피조물이었지만 그들은 다만 선택받지 못했다. 지금도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과 나이지리아인들은 에볼라 바이러스로 온 몸에서 피를 쏟으며 죽어가고 있다. 신, 이 씨발새끼야. 세월호와 함께 가라앉은 294명의 아이들이 도대체 무슨 죄가 있단 말이냐. 라고 말해봐야 돌아오는 건 메아리 뿐.
노인의 딸은 열 아홉에 폐병으로 죽었다. 노인은 사기를 당해 무일푼이나 마찬가지여서 딸을 병원에 보내지 못했다. 대신 기도원에 들어가 11일간 미음 한 숟갈 입에 올리지 않고 밤낮 기도를 드렸다. 손가락이 말라 뼈와 혈관이 앙상하게 드러났는데도 아이는 살아나지 않았다. 그 좌절과 절망은 리히터 규모로도 표현할 수 없으리라. 40년의 시간이 흘렀고, 노인은 여전히 새벽마다 기도를 드린다. 나로서는 알 수 없는 일이다.
나는 나와, 내 옆에 앉는 청년의 자리를 눈으로 더듬었다.
우리의 자리는 바다나 하늘에 마련된 것도 아니었고, 광장에 마련된 것도 아니었다. 광장에서 툭 튀어나와서 바다나 하늘을 푹 찌르는 애매한 위치였다. 안개가 덮으면 하늘 같고, 파도가 치면 바다 같고, 너그럽게 보면 광장에 붙어있는 것도 같은 모호한 지점이었다.
그게 ‘자리’라고 이름이라도 할 수 있는 것은 어쨌거나 우리가 엉덩이를 비비고 앉았기 때문이다. 하늘과, 바다와, 광장의 침묵에 기대서 말이다. 나는 잠시 노자의 통찰과, 나의 분노와, 노인의 평화에 대해서 생각했다. 모호한 우리의 자리처럼 어쩌면 그것들의 교점도 실상은 구분하기 어려운 것이 아닐까. 흘낏 본 청년의 어깨는 여전히 흔들리고 있었다.
#. 3
그 때, 툭, 툭 하고 빗방울이 머리칼에 떨어졌다. 바다에 작은 파문들이 피었다. 30일 저녁, 고베에는 비가 왔고, 그 바람에 물결이 일어 파도가 부두를 때렸다. 그는 끝내 다 흘리지 못한 눈물을 비벼 닦고 자리를 털어야 했다.
서럽다 청년아.
천지는 불인하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