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침내 그 공간이 다시 채워졌을 때 너는 다른 여인을 향한 새로운 사랑조차도 알마 없이는 불가능하리라는 걸 깨달았다. 그녀가 아니었더라면 빈 공간은 없었을 테고 또 그걸 채울 필요도 없었을 테니까.
 
*
콧등을 긁으려고 한 손을 올릴 때 우연히 연인과 눈을 맞추게 된다면 그 연인은 그 몸짓을 '너를 사랑하는 게 잘못되었다는 걸 지금 깨달았어.'라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
우리는 바뀌고 또 바뀐다. 개가 되었다가 새가 되었다가 또 언제나 왼쪽으로 기우는 식물이 된다.
 
*
"천만에. 오늘 조금 더 행복해졌다고 해서 조금 더 슬퍼졌다는 사실이 변하지는 않아. 넌 매일 둘 다 조금씩 더해져. 그러니까 지금 이 순간이 네 인생에서 가장 행복하고 또 가장 슬프다는 거지."
 
*
"감정은 시간만큼 오래된 것은 아니다."
 
*
방 안에서 침묵이 모이는 곳도 발견했다. 커튼 주름이 접힌 곳, 움푹 파인 은식기.
 
*
결국, 자신의 고독을 대단하게 여기고 싶어 하지 않은 자가 누가 또 있을까?
 
*
진실이란 내가 살아남기 위해 내가 만들어낸 거지.
 
*
다른 사람이 알마를 채어갔다고 해서 그가 질투했다면, 그건 알마에게 특별한 감정이 있었다기보다는 그 자신도 특별한 선택을 받고 사랑받고 싶다는 소망 때문이었다.
 
*

매일 평균 일흔네 종이 멸종한다는 사실이 다른 사람의 손을 잡을 유일한 이유는 아니더라도 괜찮은 이유는 된다고 생각했다.


 

니콜 클라우스 《사랑의 역사》 (2006. 절판)

 

 

 

 

 

 

 

 

 

 

샤를로뜨 갱스부르는 분명 '프랑스적'이라고 할 매력이 있다.

그게 뭐냐고 묻는다면... 한국엔 이런 우수어린 표정을 가진 여배우가 없다고 말할 수밖에 없겠다.

영화에서처럼 "슬픈 일 있냐?"고 즉각 묻고 싶게 만드는 분위기.

이 그림은 충분히 담아내지 못했지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7-04-16 07:1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지금은 비록 고인이지만, ‘고 이은주‘를 참 좋아했었지요..

AgalmA 2017-04-16 07:30   좋아요 1 | URL
안그래도 이은주 씨 떠올리기도 했는데... 그사람은 참 여렸던 사람이라... 샤를로뜨 갱스부르는 아버지 닮아서 음악도 멋지게 소화해내죠. 고집스런 예술적 강단이 온몸에서 퍼져 나오는 사람. 그래요. 표정보다는 이게 더 정확한 거 같아요. 한국 여배우들처럼 근사한 분위기로 치장하지 않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