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 혹은 순실이 누구인지 평소 자신의 신념이 무엇인지 우리는 신경 쓰며 살지 않는다. 자신이 관계되기 전까진. 살인 사건의 문제 해결보다 시체의 초상화를 그리던 화가 말로우의 선택에 나는 공감했다. 히치콕은 인간의 이런 특징을 잘 잡아낸다. 《이창》에서는 주인공이 다리를 다쳐 움직이기 힘든 사진작가이기에 가능한 풍경들을 보여 줬잖은가.
히치콕 《해리의 소동》은 인간의 부조리, 양심, 인간애 등등을 블랙코미디로 보여 준다. 시체와 무의미한 무덤 파기는 무덤덤하게 표현되는 반면, 버몬트의 멋진 가을 풍경과 클래시컬한 음악은 영화를 풍성하게 한다. 히치콕 타이틀이 무색하게 망작으로 평가되긴 했지만.
미셸 우엘벡과 조르주 페렉의 세태 묘사는 어딘지 비슷했다. 심리와 대사 가득한 프랑스 영화들의 특징처럼. 최근 한국 영화들이 조폭과 비리와 치정과 애국 4가지 키워드만 가지고 영화를 만드는 것과는 조금 다르다. 영악한 제재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에겐 성향 문제다.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도 그토록 경멸했지만 러시아 문학 자장에서 그리 멀리 가지 못한 게 아닐까 싶다. 겉과 다르게 애증이었을지도. 부유층의 삶을 누리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망명의 삶을 살아야 했고 아버지가 극우파 러시아인에게 살해까지 당했으니 미워할 수밖에. 무위의 선은 있지만 당위가 없는 미움이 있던가.
˝192×년 4월 1일(언젠가 한 외국 비평가는 전체 독일 소설을 위시해 많은 소설들이 날짜로 시작하는 데, 오직 러시아 작가들만 ㅡ 우리 문학 본연의 정직함으로 인해 ㅡ 마지막 숫자까지는 쓰지 않는다고 지적한 바 있다), 구름이 자욱하나 환하게 밝은 어느 한낮, 4시 즈음에 베를린 서부 지역의 타넨베르크 거리 7번지 근방에 아주 길고 샛노란 이삿짐 트럭이 멈춰 섰다.˝
ㅡ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재능》 첫 문장
˝세상에, 나는 이 모든 것 ㅡ 상점, 유리창 너머의 물건들, 상품의 둔탁한 얼굴, 그리고 특히 거래 의식, 느끼한 인사치레의 교환, 전과 후 ㅡ 을 얼마나 증오하는지! 소박한 가격의 낮게 드리운 속눈썹......, 할인의 고상함......, 상업 광고의 인류애...... 이 모든 것은 선의 역겨운 모방으로, 선량한 이들을 교묘하게 유인하려는 것이다. 예컨대 알렉산드라 야코블레브나가 내게 고백한 바에 의하면, 단골 가게에 물건을 사러 가면 정직함의 포도주, 상호 호의라는 달콤함에 취하는 독특한 세계에 정신적으로 전이되어, 상인의 불그스레한 미소에 빛나는 황홀한 미소로 화답할 수밖에 없게 된다는 것이다.
그가 들어간 상점의 종류는 구석 위 탁자 위에 전화와 전화번호부, 수선화가 꽂힌 꽃병, 커다란 재떨이가 놓인 것만으로도 충분히 규정될 수 있었다. 그가 즐겨 피우는 러시아산 필터가 있는 궐련은 거기 없어서, 담배 가게 주인의 자개단추가 달린 얼룩덜룩한 조끼나 호박 빛깔의 대머리만 아니었다면 그는 빈손으로 나왔으리라. 그렇다, 내게 억지로 맡겨진 상품으로 인한 지속적인 초과 지출의 은밀한 보상 형태로 나는 자연으로부터 평생에 걸쳐 뭔가를 받으리라.˝
ㅡ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재능》 중
위 문장은 물질 만능주의를 다룬 조르주 페렉 《사물들》 서술과 닮은 듯 달랐다. 조르주 페렉의 인물과 문장들에서는 무기력한 도취가 느껴졌다면 나보코프의 그것에서는 지긋지긋해하는 증오의 냄새가 가득했다. 각각의 개성이자 재능.
오늘 국회에서 문재인 의원이 대통령 퇴진 운동을 촉구하는 기자 회견하는 걸 봤다.
나보코프의 저 문장을 변용해 말하면, 우리에게 억지로 맡겨진 대통령으로 인한 지속적인 초과 지출과 피해의 확실한 보상 형태로 우리는 대통령 퇴진을 요구한다. 확실하면서도 고작이라는 생각이 드는 맥빠지는 어떤 답안이다. 하나의 답은 무수한 답 중 하나일 뿐이고, 답과 해결 사이에는 더 많은 것들이 존재한다.
히치콕 영화 속 평범한 마을에서와 달리 이곳에서 나는 내가 누구인지 무슨 신념으로 사는지 내내 생각하며 살아야 한다. 이것은 자연으로부터 온 것이 아니다. 이 글의 첫 문장과 뒤 문장의 모순 상태처럼 계속해서 이렇게 되는 것이 나는 증오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