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몽

이 혹독한 2월에 어찌 춥지 않았을까? 나는 아이의 머리를 쓰다듬고는 말했다. "얘야, 나 좀 볼래, 착하지. 아저씨가 눈이 안 좋단다. 지독한 근시라서 편지 넣는 구멍을 못 찾을 것 같구나. 저기 있는 우체통에 나 대신 편지 좀 넣어줄래." 쪼그리고 있던 아이가 나를 보더니 일어섰다. 투명하리만치 창백한, 보기 드물게 예쁜 작은 얼굴이었다. 아이는 편지를 받아 들고 긴 속눈썹을 꿈틀하더니 경이로운 미소를 지었다. 그리고 우체통으로 달려 갔다. 나는 끝까지 지켜보지 않고 길을 가로질러 갔다. 정말로 눈이 나쁜 척 실눈을 떴다. (이건 언급해야 한다.) 그 행동은 예술을 위한 예술이었다. 나는 이미 멀리 벗어나 있었으니까. 다음 광장 모퉁이에서 유리로 된 공중전화 부스에 들어가 아르달리온에게 전화했다. 그에 관한 조치를 반드시 취해야만 했다. 바로 이 꼰질꼰질한 초상화가야말로 조심해야 할 유일한 사람이라는 판단이 오래 전에 섰기 때문이다. 근시인 척한 것이 아르달리온과 관련하여 오래전에 했던 구상을 실행에 옮기라고 부추긴 것일까. 아니면 반대로 그의 위험한 시선이 부단히 떠올랐던 탓에 근시를 가장할 생각을 하게 된 것일까? 그건 심리학자들이 해명할 문제다. 아, 그런데, 그런데...... 그녀는 자라날 것이다. 그 소녀 말이다. 예쁠 것이고 아마 행복할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어떤 괴상하고 무시무시한 일에 매개자로 개입되었는지 그녀는 결코 알지 못할 것이다. 다른 가능성도 있다. 그런 의도하지 않은 순진한 매개 행위를 참지 못하는 운명이, 쓴맛 단맛 다 본 운명이, 비열한 사기 행각은 스스로 능숙하게 알아내는 운명이, 질투하는 운명이 일에 끼어든 죄목으로 소녀를 잔혹하게 벌할 수도 있다. 그러면 그녀는 놀라게 되리라. 왜 나는 이토록 불행한가? 무슨 죄를 지었기에? 그리고 결코, 결코, 결코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리라. 하지만 내 양심은 깨끗하다. 펠릭스에게 편지한 건 내가 아니다. 편지를 보낸 건 그다. 답장을 보낸 건 내가 아니다. 모르는 아이가 보낸 거다.


ㅡ 라디미르 나보코프 《절망》

* 뷰티풀말미잘님 페이퍼 <악몽>에 대한 먼댓글로 인용 : http://blog.aladin.co.kr/Escargo/8869875

 

 

 


§
나는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를 100% 좋아할 수 없는데, 그는 인간의 비열함에 대한 온갖 색깔의 실로 소설을 직조한다. 진실은 우리를 불편하게 한다고 생각해야 할까. 불편한 것이 꼭 진실이다 라고 할 수 없어 나는 더 불편해진다. 광대한 표현의 영역에서 표현된 것과 표현하는 자까지 끼어 있는 상황 속에 우리가 진실과 거짓(악의)을 제대로 알아볼 수 있을까 하는 것이 언제나 내게 큰 의문이다. 확신을 담고 있는 "쓰기"는 더 무시무시해진다. 쓰는 일에 대한 무게감. 살짝 미쳐야 쓰는 게 가능하다. 그래서 영감(靈感) 타령을 하는 건지도 모른다. 요즘 한국 문단의 성폭력 문제처럼 가장 골칫거리는 창작과 성적(性的)인 것의 연결과 관계인 거 같다. 나보코프가 《롤리타》를 쓰고 질타와 환호를 동시에 받았던 것처럼 아주 어려운 문제다. 우리는 늘 이 줄타기 속에 있다. 문장 뒤에 숨어 타락하기 얼마나 쉬운지 이미 여러 번 목격되었다. 차라리 악몽이 더 아름답고 진실같아 우리는 그토록 꿈을 불러 오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고백 성사라 하더라도 꿈 속에서 우리는 죄가 없으니까.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뷰리풀말미잘 2016-10-31 10:1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갈마님! 인용하신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문장을 몇 번이나 읽었습니다. 제가 이 소설을 읽었더라면, 아마 무의식적인 영향을 받았을 거라고 생각했을 거예요. 풀어내는 솜씨야 비할 바가 되지 않으나,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 결이네요. 또 하나 경탄스러운 것은 그 많은 독서목록에서 이 책, 몇 줄을 찾아낸 아갈마님의 매의 눈!

밤에 꿈 얘기를 쓰느냐 마느냐를 고민했는데, 쓰기를 잘 한 것 같아요. 저는 책에 밑줄 긋는 걸 극혐하는 편인데, 이런 문장을 만나면 어쩔 수 없이 긋고 말 듯.

“불편한 것이 꼭 진실이다 라고 할 수 없어 나는 더 불편해진다. 광대한 표현의 영역에서 우리가 진실과 거짓(악의)을 제대로 알아볼 수 있을까 하는 것이 언제나 내게 큰 의문이다.”

하도 진실이 불편한 시대라, 불편해야 진실처럼 생각하기도 하죠. 간혹 편안한 진실이 주어지더라도 그럴 리 없다고 의심부터 하게 됩니다. 결국 제대로 된 진실 하나 건질 수 없어 우리는 늘 화가 나 있고, 이런 시절에 말빨만 조금 따라준다면, 정치하기도, 글쓰기도 참 쉽겠죠.

“문장 뒤에 숨어 타락하기 얼마나 쉬운지 이미 여러 번 목격되었다. 차라리 악몽이 더 아름답고 진실되어서 우리는 그토록 꿈을 불러 오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꿈 속에서 우리는 죄가 없으니까.”

이 문장은 마음에 담아가도록 하겠습니다.

AgalmA 2016-10-31 10:22   좋아요 2 | URL
뷰티풀말미잘님이 이 소설을 안 읽었다는 걸 알 수 있었어요. 알았다면 자기 검열이 문장 속에 나타났을 테니까요. 그래서 이 페이퍼 제목을 ˝우리는 악몽처럼 연결된˝이라고 썼죠. 신기하죠. 네, 정말 신기해요....

2016-10-31 20: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1 09: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1 17: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11-01 18:3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