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참 잘하는, 신간 열풍이 좀 지나가면 읽는 버릇으로 성동혁 <6>을 읽다가, 문득 기록을 남기다.
어떤 독자성. 독특한 발성과 구조성. 시의 특성이 원래 그렇지만, 그는 언어의 형태론적으로 더욱 그렇다. 살아있는 형태 없이 구별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란 참....슬픔이 시각이 아니라 통각인 것과 비슷할까. 김행숙 시인이 성동혁에 대한 시평에서 ˝통각의 가능성˝이라고 말할 만하다.
할 말이 많아지면 나는 주체할 수 없이 딴 짓을 한다. 하던 일을 미뤄두고 갑자기 시집을 펼쳐든 것과 마찬가지다. 결국 모든 게 밀고 당기게 된다. 인력(引力)과 척력이 괜히 쌍이 아니다.
푸른 색 커버의 책이 맘에 드는 게 많지 않다. 푸른 색 자체로 있는 건 없고 거의 흰 색이 같이 배치된다. 그래서 책장이 흰 색 반, 푸른 색 반이 되어 버렸다. 커버에 블랙이 많이 섞인 책은 확실히 그 내용도 블랙적이다. 잭 블랙적인 영화라는 말이 있듯이. 그게 무슨 말이야! 좋다는 말을 여러 가지 변칙적으로 쓰는 습관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힘들게 사는 노력도 가지가지....
페터 빅셀 <책상은 책상이다>에서 책상은 양탄자로 불렸다. 급기야 모든 어휘 체계를 바꾼 주인공의 삶은 뒤죽박죽 되어가는데 정말 눈물겨웠다. 나는 그러지 말아야지 하면서도 안 되는 건 안 되는가봐....중고서점에서 요즘 <주역>을 살까 망설이고 있다.
이젠 하다하다 온라인 책장을 색상 별로 꾸미는 취미까지...웹 생활을 강력히 점검해야 할 때인 건 확실하다. 이걸 살아간다고 할 수 있는 건가.
지난 달 빨간 컨셉 책장일 때 찍어두지 못한 게 아쉽다. 20살 10월 22일의 나를 기록해두지 못한 것과 같다. 이래서야 기록탐닉증이라고 말할 수 없겠다. 기록뒷북증? 기록느슨증? 뭐라 붙이든 누구든 거북하게 만들 것이다. 우린 진화상 결이 맞지 않으면 피하거나 공격하게 되어 있다. 그 놈의 진화! 그 놈의 DNA! 그러니까 유유상종은 협동성이고, 아웅다웅은 경쟁성인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아 인식관련, 뇌과학, 진화론 책이 집중적으로 아웅다웅 내 주머니를 털어가도 막을 수 없다.
| | |
| ˝우리는 수수께끼처럼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사람과는 진지한 일을 하지 않는다. 그렇게 스스로를 보호하도록 행동함으로써 손해가능성을 최소화한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 자신의 동기를 되도록 드러내지 않으려 하고, 상대방은 우리가 비협조적이고 이해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게 된다. 적대적인 인종 집단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각 집단의 구성원들은 자기 집단에 속한 사람에게는 자신의 바람과 생각이 명확히 전달되도록 행동하지만, 다른 집단의 사람에게는 자신의 의견을 감추려 한다. 그래서 그 각각의 집단은 상대 집단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마침내 그 집단들은 전부 이해하기 어려운 집단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제각기 상대가 자신들을 이해하지 않으리라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ㅡ 애덤 모턴 <잔혹함에 대하여> p56 | |
| | |
얻을 게 있는 만큼 우리 거리는 정해진다. 그래서 나는 나와 가장 가깝지.
이 생에서 나는 아무 것도 가지지, 지키지, 돌이키지 못한다. 그렇게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졌다, 라고 말하는 사람은 거짓말쟁이.
ㅡAgalma
詩 그 방에선 물이 자란다
세수를 할 때마다 흘러가는 기도를 아끼자 더 흘려보내기엔 세면대의 구멍이 작아
물속에 얼굴을 넣었다 빼도 나는 물의 미간을 그려 내지 못한다
거울을 보면, 숨이 차고
젖은 아스피린과 가 보지 않은 옥상이 보인다
오래 마주치기엔 서로 흐르고
대신 나는 이가 투명해. 표정을 잃을 때마다 사라지는 다리
골반까지만 반복되는 거울
잠시 엄마와 월요일이 사라진 것을 메모했다
그때는 아가미가 생겼다
침대는 누우면. 눈썹이 쏟아지고
돌고래의 문장을 배워 본다
지느러미가 생기면
파도의 단추를 모두 채워 주고 싶다
스위치를 켜면. 물이 우르르 밝다
오늘이 짙고 밤이 숨차고
창문을 상상한다
방의 동공이 크다
ㅡ 성동혁 <6> p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