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잔치는 끝났다 창비시선 121
최영미 지음 / 창비 / 199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Mark Rothko 전시에 대한 기대와 함께 그의 그림이 있는 표지니까 기념으로~
시들은 시집과 함께 다 가버렸지만 이 표지그림은 기억하고 있었다. 세상은 언어들의 지옥이지만 기억은 개인적 이미지들의 처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르고숨 2015-03-26 14: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안 그래도 신간 <마크 로스코>를 보고 저 표지 어디서 봤더라,, 했지 뭡니까?! 아갈마 님이 답을 땋+고마워요. 자꾸 옅어져 가는 `이미지들의 처소`에 좀 슬퍼하다가- 저 제목에 대고 서른에는 서른의 잔치를, 마흔에는 마흔의 잔치를, 이라고 말했던 기억이 나네요, 라고 마무리. 희희.

AgalmA 2015-03-27 04:40   좋아요 0 | URL
코엔 솔랄 책 말씀이시지요^^? 정확히는 다른 그림인데, 재밌는 게 로스코의 많은 그림 중에 왜 하필 두 책이 비슷한 색감의 그림을 표지로 썼나 싶어요. 두 책의 디자인 컨셉자가 혹 동일인물인가 싶다가, 코엔 솔랄 원작 표지가 저런가 찾아보다가 코엔 솔랄이 사르트르 전기를 1,2권으로 쓴 이력보고 오, 이 사람 로스코 글 쓴 것도 볼만 하겠다는 정보만 얻은 이상한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