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풀하우스
스티븐 J. 굴드 지음, 이명희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2년 1월
평점 :
#
스티븐 제이 굴드는 초장(p49 참조)부터 창조론의 짜증스러운 논리들을 격파한다. 이브가 아담의 갈비뼈에서 나왔다면 왜 지금은 이브들이 더이상 안나타나는가. 물론 그것은 수많은 신화들처럼 상징·은유적 표현이다. 그것을 구축하는 인간의 논리와 헛점들이 눈에 빤한데 종교를 가진 사람들과 대화를 할 때면 한숨이 나오고는 한다. 성경의 많은 부분이 이전시대의 토착 신앙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말하면 나를 이상하게 바라보며 싸울 태세다. 그들에게 그런 것쯤은 중요하지도 않은 것 같다. 자신의 무지와 나약함을 神이라는 창과 방패로 가리는 인간. 눈가리고 아웅식 믿음들. 천국 면죄부, 마녀사냥, 온갖 계파 싸움들을 보라. 마치 神을 칩으로 한 노름판 같다.
인간을 진보의 꼭짓점으로 두는 많은 이론들의 오만함. 자신의 유전자를 더많이 퍼트리는 것이 생물의 주요 목적인 점에서나 진화 우월론으로 본다면, 가장 오랜 기간, 가장 넓게, 더많은 수로, 생존하고 있는 박테리아/바이러스/어류군들이 더 우세한 게 아닐까? 박테리아가 두 다리로 일어서서 직립보행을 하지도 않고 달나라로 가 인증사진도 찍지 못하니 진보적 진화가 아님? 그들에겐 그런 게 필요하지 않는데?
ㅡAgalma
===============================
p49
다윈은 링컨과 같은 날에 태어났고 1859년 『종의 기원』의 출판과 함께 혁명의 막을 <공식적>으로 열었다. 1959년 다윈 이론 발표 100주년 기념 행사에서 위대한 미국의 유전학자 멀러는 「다윈 이론에 대한 몰이해는 100년이면 충분하다」는 제목의 연설로 행사장을 숙연하게 만들었다. 멀러는 다윈 혁명이 충분히 파급되지 못하게 된 원인을 극단적으로 다른 두 가지 측면에서 봤다. 하나는 창조론이 여전히 대중 문화를 장악하고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진화를 인정하는 지식인들 사이에서 자연선택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