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옹야편을 보니 이런 말이 나오더라.

 

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 然後君子

자왈 질승문즉야 문승질즉사 문질빈빈 연후군자

 

 

 

 

 

 

 

 

 

 

 

 

 

 

 

김원중 역 <논어>에서는 위 문장을 이렇게 해석했다.

 

바탕이 꾸밈을 이기면 촌스럽고, 꾸밈이 바탕을 이기면 텅빈 듯하다. 꾸밈과 바탕이 고르게 조화를 이루고 난 뒤에야 군자인 것이다. (123)

 

한편 신창호 역 <한글 논어>에서는 이 부분을 좀더 자세하게 번역했다.

 

사람의 본바탕이 자라나면서 후천적으로 꾸민 것보다 강조되면 촌스럽다. 꾸민 것이 본바탕보다 강조되면 사람 됨됨이가 텅 빈듯 공허하다. 본바탕과 나중에 꾸민 것이 함께 어울려야 훌륭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곧바로 이어지는 해제에서는

 

실질적 내용이나 도리, 사실적 바탕만을 강조하고 외형적으로 꾸미거나 문화적으로 수식하는 것을 소홀히 하면 천박한 사람으로 비치기 쉽다. 그렇다고 지나치게 외형을 꾸미거나 문화적 수식만을 강조하고 실질적 내용을 소홀히 하면 알맹이는 없고 수다스런 사람이 된다. 따라서 문화적 꾸밈과 실질적 내용이 잘 어울려 빛을 발휘해야 교육받은 사람으로서 온전한 인성을 갖추게 된다. (184)

 

라고 덧붙이고 있다.

 

그런데 이런 '바탕'과 '꾸밈'에 대한 생각은 사람 뿐만 아니라 예술이나 학문에도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저 유명한 '개념 없는 직관은 맹목이고, 직관 없는 개념은 공허하다'던 칸트의 말도 결국 비슷한 얘기 아닌가 싶다. 

철학이란 학문이 서양에서 좀 더 체계적으로 자리잡은 구석은 있지만 비슷비슷한 생각들은 동양에서도 얼추 발견할 수 있는 거 같다. 철학에 동서양을 나누는 것도 어찌 보면 웃기는 일인 듯싶기도 하고.

정말 그런지 죽기 전이라도 한 번 살펴보는 것이 어떨까 싶어서 동양 고전을 조금씩 읽으려고 한다.   


김원중 선생 책은 논어 원문에 충실한 번역으로 문장을 곱씹으며 생각할 여지를 주는 장점이 있고(물론 각주도 충실하다), 신창호 선생 책은 이해하기 쉬운 번역에 친절한 설명까지 곁들였기 때문에 두 권 다 저마다 장점이 있다.

그래서 요즘 이 두 책을 번갈아 조금씩 읽고 있는데, 구절들을 비교하면서 읽는 재미가 쏠쏠하다.

 

성백효, <논어집주>는 가끔 참고만 한다. 주석이 너무 길고 어려워서 본문에 집중이 잘 안되는 편이다.

옛날에 논어 읽어보겠다고 그걸로 시작했다 끝을 못봤었는데, 이번에는 기어이 완독할 수 있겠다는 느낌적인 느낌이 온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병통치약 2015-02-02 1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글논어로 풀어 놓으니 쉽고 좋네요. 예전에 이렇게 설명해 주었을까요?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 然後君子 너무 멋진 문장인데요?!

돌궐 2015-02-02 14:27   좋아요 0 | URL
네.. 읽다가 정말 새삼 아 이런 문장이 논어에 있구나.. 라고 생각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닙니다.

AgalmA 2015-02-02 14: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돌궐님, 논어랑 다산이랑 비교 좀 해주세요ㅎ
아까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잠재적인 것은 존재할 수도,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곧 잠재적인 것 자체가 잠재적일 수도 잠재적이 아닐 수도 있다˝ 문구를 한참 들여다 보았습니다. 이건 동양사상이랑 다를 바 없잖아 하면서....

돌궐 2015-02-02 15:20   좋아요 0 | URL
제가 무슨 깜냥으로 그런 어려운 걸 하겠습니까... ㅎㅎ
Agalma 님이야말로 <형이상학>의 그 문장과 동양 사상을 자세하게 비교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yamoo 2015-02-02 15:43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제가 동서양 철학쪽을 공부해보니 동양과 서양은 확실히 사고하는 방식이 다르더군요. 니스벳도 이점을 아주 잘 지적해 줬지요. 그래서 동서양 철학이 같은 것을 다른 방식으로 사유한 것 같습니다. 서양철학은 근대 이후 이원론적 사고가 확고히 자리잡았지만(그 전에 논의되어 온 것들이 확고해 졌다랄까요) 동양의 철학은 기본적으로 일원론적이라는 거...주역과 노장 사상을 보면 확연히 알 수 있지요. 유교철학보다 훨씬 상보성을 강조한 걸 보면..그리고 서양은 동양보다 훨씬 더 사변적이었던 거 같습니다.
동양에서는 확실히 `개인`이 철학의 주요 대상이 된 적이 거의 없었던 거 같습니다. 그래서 동양과 서양의 철학은 확연히 구분되는 점이 있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돌궐 2015-02-02 16:07   좋아요 0 | URL
아이구 yamoo 님 제가 어쭙잖게 동서양 철학 운운해서 얕은 지식을 드러냈습니다.^^; 말씀해 주신 내용은 잘 새겨들어서 앞으로 공부할 때 참고하겠습니다.
인용한 구절이 어디서 많이 들어본 거 같아서 어설프게 칸트와 비교해 봤는데, 결국 ˝나는 칸트도 안다˝라고 잘난체한 결과밖에는 안됐네요.ㅜㅠ 따뜻한 가르침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은 저도 누가 말했다면서 권위에 의존하는 글 별로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인용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하는데 그게 참 어렵더라구요.ㅎㅎ

2015-02-02 16: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2-02 18: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5-02-02 2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올재 클래식스에서 나온 이을호 선생의 논어는 누구나 알아듣기 쉽도록 일상의 대화를 나누듯이 번역했어요. 성백효 선생의 논어집주는 제외하면 김원중, 신창호, 이을호 역, 이 세 권을 번갈아가면서 읽어요.

돌궐 2015-02-02 23:26   좋아요 0 | URL
이을호 선생 한글논어는 저도 서점에서 분명히 봤는데, 알라딘에서는 검색이 안되는군요.
다시 살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