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경 - 골든세계문학선 11
멜빌 지음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1992년 4월
평점 :
절판
우리에게 알려진 <白鯨>은 잘못 알려진 소설 가운데 하나이다. 일종의 해양문학 혹은 고래잡이 소설로 알려진 이 소설은 사실은 거대한 바다-또 다른 세계-에서 벌어지는 인간과 악의 문제를 비유적으로 다룬 소설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어린 시절부터 친숙하게 알려진 소설은 심오한 부분이 빠진 고래 추적기만이 짜집기 된 것이었다. 그래서일까. 많은 문학평론가들이 백경이 선과 악의 문제를 다룬 심도 높은 작품이라고 해설을 붙였지만 그 본 뜻을 이해하기는 힘들었던 소설이다. 사실 축약본들은 대략 5백여쪽이 넘는 원본의 반정도의 분량으로 출판되고 있다. 그래서 지금도 축약본을 읽은 아동들은 백경이 여전히 고래잡이 소설로 인식되고 있다.
이 소설속의 가장 중요한 두 인물은 선장인 외다리 에이허브 선장과 나레이터인 이스마엘이다. 이들의 이름은 아주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이스마엘의 이름은 <신이 들으신다>라는 뜻이다. 그리고 증오와 복수로 뭉쳐진 에이허브 선장이 있다. 그의 이름은 구약성서에서 이스라엘의 왕들 가운데 예언자들로부터 가장 욕을 많이 얻어먹는 아합Ahub의 이름이기도 하다. 특히 아합의 아내Ahub's wife인 이세벨Jezebel(고상하다는 의미)은 악독하기로 소문난 여자였다. 이름이 규정하고 있는 이스마엘과 에이허브의 예에서 보듯 이 소설은 거대한 상징의 장치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상징이라는 덫에 빠져 이 소설을 수수께끼를 풀어가듯 읽는다면 이 책이 말하고자하는 핵심을 놓칠 수 있다는 점이다. 저자인 허먼 멜빌은 이 책을 <사악한 책>으로 정의하였다. 그래서일까 이 책이 나왔던 1850년대의 미국 동부의 청교도들에게 외면을 당하고 말았다. 청교도적인 입장에서 볼 때 이 소설은 어찌보면 악의 승리를 묘사하는 책으로 이해되었을지도 모른다.
사실 이 책은 사실적인 묘사가 압권인 작품이다. 하지만 그 사실적 묘사가 상상력과 상징성에 의해 훼손을 받는다면 이 책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도구를 놓쳐버릴 수 있다. 이스마엘의 이름에 집착하거나 에이허브의 이름에 집착하게 된다면 당연히 우리는 일등항해서 스타벅Starbuck의 이름에도 골머리를 앓아야만 한다. 왜 커피 전문점 이름이 이곳에 나와있는것이지...
이 책은 우리에게는 낯선 항해용어와 배에 관한 용어가 많이 나온다. 그만큼 우리의 삶은 바다와 멀어져 있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특히 8장의 설교단의 이야기는 교회 자체가 포경선의 구조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설교하는 목사는 밧줄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는 모습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것은 존 휴스턴 감독이 만든 영화 <모비 딕>을 보고서야 그 구조를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흰고래 역시 마찬가지이다. 흰색은 순결과 신을 향한 마음을 나타내는 색이지만 이곳에서는 악과 동일한 색으로 변화되며 마지막에는 죽음과 연결된다. 이스마엘도 흰색을 무신론적이며 무색의 색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에이허브는 흰고래에게 한쪽발을 잃어버린 뒤에 오직 복수의 칼날을 갈고 있는 사람이다. 그는 배의 선장으로서의 임무-선원들의 안전과 풍족한 수확-를 거부하고 오직 흰고래만을 쫓는다. 그리고 결국 모든 사람들을 죽음으로까지 몰고간다. 그렇다면 여기서 에이허브 선장은 선이고 흰고래는 악이라는 등식이 성립하는 것일까. 절대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모비딕에서 에이허브와 흰고래의 투쟁만을 따로 떼어놓고 본다면 80년대의 영웅본색류의 영화를 생각나게 한다. 거기에는 좋은 악당과 나쁜 악당이 나올 뿐이다. 사실 악당은 다 나쁜 존재이지만 여기서는 관객들이 좋은 악당을 응원하게 만든다. 그리고 좋은 악당에 의해 나쁜 악당이 괴멸되는 순간 공허한 박수가 어두컴컴한 극장속을 울려퍼진다. 그것뿐이다. 밝은 조명이 켜지며 엔딩 자막이 거대한 스크린 속에 흐르고 있을 때 사람들은 극장문을 빠져나오며 주윤발의 이미지만을 기억하는...
<하느님, 저 늙은이를 불쌍히 여기소서. 그는 스스로 마음 속에 어떤 존재를 창조해서 그 생각 때문에 스스로 프로메테우스가 되고 말았습니다. 독수리가 그의 심장을 영원히 뜯어먹고 있는데, 그 독수리는 바로 그가 창조해 낸 존재이옵니다.>
이스마엘이 읊조리는 기도 속에 이 소설의 모든 것이 들어있다고 한다면 루리일까. 그래서 이 소설은 사악한 것인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