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치의 자식들
노르베르트 레버르트 외 지음, 이영희 옮김 / 사람과사람 / 2001년 3월
평점 :
품절
이외수는 "훈장"이란 작품에서 미친 개였던 부친의 그늘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개새끼의 이야기를 그렸다. 이 작품에서 주인공은 결국 자신이 벗어나고자 하였던 부친의 그늘을 벗어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함을 느끼게 된다. 결국 주인공은 아버지와의 화해를 통해 그 무겁고 암울한 미친 개의 그늘에서 벗어나 개새끼가 아니라 한 사람의 개인, 박원일로 거듭 나게 된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아버지의 유품은 훈장을 버리지 못하고 그것을 소중하게 벽에 걸어 놓는 것으로 끝이 난다. 결국 자신의 혈액 속에 미친개의 DNA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나치의 자식들"이란 책을 읽으며 내내 이외수의 작품이 머리 속에 맴돈것은 무엇 때문이었을까? 그만큼 아버지의 그늘을 자식들이 벗어버리기에는 벅찬 것이기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자신도 모르게 아버지를 닮아가고 있기 때문일까? 그 닮음은 자신의 콤플렉스가 되어 그것을 벗어나기 위해 자신과 자식들에게 아버지와 똑같은 행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나 있을까?
이 책은 역사와 公論으로서의 아버지와 사적인 개인으로서의 아버지가 상충된다. 가스 처형실과 강제 수용소라는 역사의 저편에는 크리스마스 때 마다 선물을 주고, 출퇴근 시에 자신들의 볼에 키스를 한 사적인 감정이 공존한다. 이럴 경우 자식들이 따라야할 기억은 무엇일까? 어떤 자식은 자신의 아버지 사진에 手淫을 하면서 부모의 존재를 부정한 반면 어떤 자식은 사제의 길을 걸으며 부모의 죄를 대신 속죄한 사람도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적인 감정이 점차 공적인 역사를 대치해 나가는 과정을 작가는 아버지와 아들 2대에 걸쳐 냉철하게 밝혀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자식들-여기서는 헤쓰, 보르만, 히믈러, 괴링, 쉬라흐, 프랑크의 자식들은 어쩌면 아버지의 영혼이 자신을 지배하도록 내버려둔 사람들인지도 모른다. 이들의 유년시절의 기억은 대부분 은밀하면서도 특별한 것이었다. 히틀러를 만나 선물을 받고 그 압도적인 모습에서 무엇인가를 느끼던 아이들이었던 것이다. 그래서일까, 쉬라흐의 아들은 어느날 나치제국의 훈장이 새겨진 상자속에서 아버지의 사진을 발견하고 지금의 가난과 당시의 영화를 생각해보며, '나는 태어날 때부터 이런 모습은 아니었다'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자신이 특별하였다는 것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었던 것이다. 바로 이 발견을 통해서 이들은 아버지의 그늘로부터 벗어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나치의 자식들 가운데 자신이 전범들의 자식이라는 것을 부끄럽게 여기는 사람이 없다는 점이다. 이들은 모두 排除, 否認, 그리고 알려고 하지 않는 意志라는 3대 원칙에 충실히 자신을 맡겼다는 점이다. 이들은 자신에게는 솔직하지만 역사에는 엄격한 기준을 들이대는 것을 의식적으로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아버지를 배반하지 않으면서 역사에 대해서는 무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들의 사고방식은 다음과 같은 증언과 일치한다.
"경찰이나 검사들과 이야기를 한번 해보십시오. 범인이 양심의 가책 때문에 자백을 한다거나 어떤 특정한 행동을 하는 경우는 결코 없다고 합니다. 그런 시대는 지났습니다. 정체가 발각된 다음에야 죄책감을 느낌니다."
얼마나 소름끼치는 증언인가? 아우슈비츠의 강제수용소 박물관을 견학하면서 울고, 기도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당사자이거나 그들의 가족이라고 한다. 하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지적호기심을 가지고 그 현장을 철저하게 구경하고 질문하는 사람들은 제 3자인 경우라고 한다. 그만큼 역사의 사실을 느끼는 감정과 시각이 다르다는 점이다. 이것은 심리학적으로 "전범자들-범죄자로 바꿔도 무방할 것이다-은 범죄행위 안에서 자아를 실현했기 때문이다. 반면 희생자들은 점범자들의 행위로 자아실현의 모든 가능성을 빼앗긴 것이다. 정말로 우습고 모순되는 이야기이지만, 타인을 괴롭히는 것은 괴롭힘을 당하는 쪽보다 부작용이 훨씬 적다고 한다"는 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이다. 독일의 이야기이지만 우리의 모습과도 무서울만큼 가깝게 느껴지지 않는가.
사실 우리의 주변에는 역사에 대한 두 가지의 상이한 시각이 존재하고 있다. 하나의 시각은 "해방 이후 진실로 우리의 진정한 역사를 가져본 적이 있는가"하는 과거 부정의 역사와 "해방 이후 우리의 역사는 도전을 극복하는 역사"였다는 긍정의 역사이다. 이 두 역사관의 가장 큰 차이는 해방 이후 친일을 얼마나 확실하게 단죄하였는가의 유무이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친일이 청산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의 진정한 역사가 없다는 주장이지만, 후자의 경우는 친일보다 더 시급했던 역사의 과정을 헤쳐나온 것이 더 급했다는 현실론적인 주장이다. 이 두 주장의 접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이제야 본격적으로 반쪽의 역사가 아닌 온전한 역사를 이야기할 때가 온 것이 아닐까? 이것에 대해 거부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