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랑캐의 탄생 - 중국이 만들어 낸 변방의 역사
니콜라 디코스모 지음, 이재정 옮김 / 황금가지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사실 같은 거짓말 하나. 우주선을 타고 우주에 나갔을 때 유일하게 보이는 지상의 건축물은 만리장성이다. 일견 그럴듯하게 들리는 이 말은 거짓이라고 한다. 우주에서 보는 지구는 그져 아름다운 푸른 덩어리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것이다. 왜 만리장성의 이야기를 서두에 꺼냈는가 하면, 이 책의 주제인 오랑캐의 문제와 비슷한 것이기 때문이다.
萬里長城과 天高馬肥라는 단어는 아주 오래 전부터 하나의 댓구처럼 이해되어 왔다. 가을이 되어 겨울을 맞이할 준비를 하는 농경민과 겨울을 나기 위해 약탈품이 필요한 유목민의 침입이라는 그림이 두 단어를 연결시켜주고 있다. 만리장성은 외형적인 것으로 볼 때 중국문화의 울타리로 이해되어 왔다. 즉 장성 안은 중화이고 그 바깥은 北狄, 南蠻, 西戎, 東夷로 구분하였다. 이런 구분의 겉모습은 중국이 이들 사방의 야만인으로부터 문명을 지켰다는 의미로 해석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과연 그럴까? 이 책은 바로 이런 의문점을 우리에게 제시하고 풀어헤쳐주고 있다.
저자는 만리장성의 개념부터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 저자의 만리장성에 대한 해석은 마치 미식축구의 경기처럼 해석하고 있다. 중국민족은 조금씩 조금씩 자신의 영역을 확보해 나가면서 자신이 확보한 땅을 보호하기 위해 장성을 구축하였다고 보는 것이다. 즉 만리장성은 자신의 문화를 보호하는 울타리가 아니라 밖으로 뻗어가기 위한 식민지 건설의 전초기지로서의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흉노 문제 역시 중국인들은 그들의 강력한 공격력과 힘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것은 쉽게 말해 중국의 팽창주의를 호도하기 위한 엄살이라는 것이다. 저자의 분석에 따르면-나 역시 저자에게 동의하지만-흉노는 한번도 중국의 존망을 위협할 정도로 강성해본 적이 없다는 점이다. 오히려 중국은 흉노를 분열시키는 정책-以夷制夷-을 사용하여 약화시켰을 뿐 아니라 중국 스스로 선공정책을 유지함으로서 흉노의 세력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저자의 글은 이 책의 후반의 중요한 주제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중국은 왜 자신을 약자의 편에 흉노를 강자의 편에 위치시키고 그 위협을 과장하였던 것일까?
이것은 중국의 秦제국 이래 유지해온 중국이라는 거대한 지형학에서 찾아봐야만 할 것이다. 즉 중국은 자신들이 획득한 영토를 보존하고 확장하기 위해 '문명의 위기'라는 주제를 선택하였던 것이다. 즉 자신들은 문명을 전파하는 전도자로서의 선진문명을 가진 고귀한 민족으로, 塞外의 주민들은 자신들의 문명이 확장-영토의 확장 혹은 식민지의 확장-하는데 있어서 방해물로 고정시켰던 것이다. 중국인들은 아이러니하게도 19세기 유럽의 제국주의자들이 선택한 '명백한 운명'의 선구자였던 것이다. 이런 중국적인 과장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오랑캐를 창조해 낸 것이다.
만리장성이 축조되던 시기에 북방의 민족은 중국인들과 첨예한 대립을 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자신들을 견제하는 북방민족이란 어떤 사람들인지를 연구하고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었다. 그렇기 때무에 중국 최초의 역사서인 사기에는 '흉노열전'이 첨부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사마천 자신의 직접정보와 간접정보가 뒤섞여 있지만 분명한 것은 북방의 민족들을 솔직히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런 사마천의 인식은 후한시대로 접어 들면서 중국은 자신들의 제국적 역량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학문인 유학으로 무장하고 북방민족의 문제를 재검토하기 시작하였다. 여기서 이들은 더 이상 북방민족의 존재를 인정할 필요가 없었다. 왜냐하면 이들 북방민족은 여전히 제국의 변방을 침범하기는 하였지만 위협적인 요인이 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 결과 사마천에 의해 객관적으로 기술되었던 북방민족은 주관적인 기술로 바뀌게 되었다. 후한시대에 편찬된 지리서인 '山海經'을 보면 당시 중국인들의 세계관이 어떠했는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중화 이외의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중세 유럽에서 풍미하였던 '맨드빌의 이야기'에 나오는 것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다른 점이 있다면 중세 유럽의 '맨드빌 이야기'는 유럽인들의 무지에 의한 것이라면, '山海經'은 고의성이 짙다는 점이다. 즉 이방인에 대한 중국인의 지적 우월성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란 점이다. 그러면서 중국인들은 역사의 기술 방식에 하나의 변화를 추구한다. 즉 역사를 기술하는 사람이 통치자의 도덕적 문제점을 지적하였다는 점이다. 즉 윤리적인 모범을 보이는 한에서 권력의 정당성을 옹호하였던 것이다. 이는 공자의 춘추필법에 따른 것이었지만 이는 중국이 주변 민족들에 비해 문화적, 도덕적으로 우월함을 은연중에 과시하는 것이 되었다.
이 결과 오랑캐가 탄생한 것이 아니라 '용의 자손'이라고 하는 '중화민족'이 태어나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