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원의 전사들
에릭 힐딩거 지음, 채만식 옮김 / 일조각 / 2008년 10월
평점 :
인간이 말을 이용하여 전쟁을 벌인 것이 무릇 35세기가 된다고 한다. 20세기 폴란드의 창기병인 포모르사케가 나치의 기갑군에게 용맹하게-하지만 무모한-돌격한 것을 끝으로 사실상 인간이 말을 이용하여 전쟁을 벌인 시대를 종언을 고하였다. 하지만 그 오랜 세월 동안 초원의 유목민들은 정주민들에게 커다란 공포와 위협으로 존재하였다. 이 책은 그 오랜 세월에 걸쳐 초원의 유목민들과 농경사회의 정주민들이 투쟁한 역사를 기록한 책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시선이 유목민의 시점이란 것이 다를 뿐이다.
유목민들은 그 광활한 초원을 이동해야하기 때문에 속도를 무척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이 속도에 화력이라는 무장력을 덧붙임으로서 자신들만의 전통을 확립하였다. 이것은 근세 이전에 어느 민족도 가질 수 없었던 군사적 기동성을 확보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들 유목민들은 이를 바탕으로 정착민을 공격하여 자신들이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였다. 이는 정착민들의 입장에서 보면 약탈이었지만, 유목민들에게는 생존과 직결된 것이었다.
사실 군사적 측면에서 본다면 농경정착민이 초원유목민을 상대한다는 것은 이야기 거리가 되지 않는다. 농경민들은 언제나 그곳에 고정된 지역에 거주한 반면 초원유목민은 자신들이 침입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잇점이 있었다. 이런 차이점으로부터 시작된 유목민과 정착민과의 투쟁은 언제나 유목민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그렇다면 그 승리의 결과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문명세계로의 동화라는 씁쓸한 결과를 낳았다. 그 수많았던 유목민족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그 광대한 초원 저 너머로 사라진 것이 아니라 문명 세계로 흡수되어 흔적 없이 희석되고 말았다.
반면 정착민 사회는 유목민과의 투쟁을 통해 기마술과 활의 진정한 가치를 배웠다. 이 두가지는 정착민 사회의 전쟁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활의 경우 유목민들의 단궁이 활의 제조에 큰 영향을 끼쳤고, 기마술은 전쟁의 속도감에 영향을 끼쳤다. 기차나 자동차가 발명되기 전까지 기병대는 가장 빠른 전장의 이기였다.
초원의 전사들은 말을 통한 기동력, 활에 의한 장거리 사격 능력을 가짐으로서 현대로 말하면 전격전의 효시를 이루었다는 점이다. 막강한 곳을 우회하여 후방을 기습함으로써 적의 사기를 꺽고, 거짓 후퇴를 통해 우회 포위 섬멸이라는 전술을 구사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서 유목민들은 역사상 격변기에 대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착민 역시 유목민들의 이런 전술을 재빨리 흡수하여 자신들의 것으로 만들어 감으로서 유목민족들이 가진 장점들이 서서히 상쇄되어 갔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결국 화포의 발명으로 유목민들은 그들의 전술적 우위성이 약화되어 갔지만 그 위혁은 19세기까지 유지되었다. 1910년 멕시코 내란 당시 판쵸 비야의 농민기마군이 오브레곤의 정규군-보병이 주였다-을 공격하였다. 철조망으로 방어된 참호 뒤편에서 오브레곤의 군대는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이 진지를 공격한 판쵸 비야 군대는 거의 소멸되고 말았다. 사실상 이후 기병대의 무모한 공격이 몇차례 더 세계 전사에 나타나지만 그것은 막장 뒤의 크레딧과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들 유목민족이 역사의 주역에서 사라진 것이 아니라 이들의 영향력이란 점이다. 지금도 미국은 군사편제에 기병대가 유지되고 있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말 대신 헬리콥터와 장갑차가 대신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다른 국가에서도 명칭은 다르지만 말의 기동력을 대신하는 문명의 이기를 이용하여 군사적 기동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유목민 전사들이 일상적으로 영위하였던 기동성과 화력이라는 요소를 지금도 버리지 못하고 신봉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