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율표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이것이 인간인가'를 읽고 이 책 역시 흥미를 느껴 읽게 되었다. '주기율표'라는 제목에서 그전에 읽었던 화학적 상식의 책으로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저자의 독특한 시각으로 화학의 세계로 나를 이끌 것이란 생각을 하였다. 하지만 이런 생각도 나의 섣부른 판단이었다. 책을 덮고 나서 내가 무엇을 읽었는가?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 사실 주기율표에 나타난 원소와 거기에 얽힌 저자의 삶이 기록되어 있는 하나의 인간표였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오랫 만에 여기 저기를 뒤져서 주기율표를 보았다. "벰가스바라,비알가..."하면서 외웠던 옛 기억과 함께 주기율표 속에 인류의 시작부터 종말까지 다 들어있다는 생각이 언뜻 들었다. 이렇게 생각하자 내가 무엇을 읽었던가?라는 의문은 "나는 한 사람의 전체를 보았구나"라는 생각으로 바뀌게 되었다. 사실 주기율표의 관계는 결합과 밀어내기의 반복이다. 이 반복적인 규칙속에서 지구상의 모든 물체가 생성되고 소멸된다. 결국 우리 인간들 역시 인류라는 거대한 주기율표 속에서 결합과 밀어내기를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다만 그 결합과 밀어내기가 철학적인 용어, '사랑'과 '증오'라는 단어로 교묘히 포장되어 있을 뿐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결합보다는 밀어내기의 관계를 더 많이 보여준다. 하지만 그 밀어내기의 관계 속에서도 인간의 저 깊숙한 곳에 숨어있는 순수함도 발견해 낸다. 하지만 첫 머리의 아르곤처럼 이 지구상에 존재하지만 아무도 본 적이 없는 기체에 대한 이야기와 유대인의 관계를 설명할 때는 정말로 가슴 한쪽이 저려옴을 느꼈다. 존재하지만 아무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느끼는 원소와 유대인. 자신들과 함께 살고 있음에도 유대인이라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 그림자처럼 되어 버렸던 유대인들의 모습... 

이런 시각으로 주기율표의 한칸 한칸을 채워가다 보면 어느새 인류의 가장 참혹했던 밀어내기의 역사가 완성된다. 그 마지막에 채워넣어야할 새로운 원소는 무엇일까? 그것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