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 어디에서 왔니 - 탄생 ㅣ 한국인 이야기
이어령 지음 / 파람북 / 2020년 2월
평점 :
꼬부랑 할머니가
꼬부랑 고갯길을
꼬부랑 꼬부랑
넘어가고 있네
꼬부랑 꼬부랑
꼬부랑 꼬부랑
고개는 열두고개 고개를
고개를 넘어간다.
이 동요를 오래 만에 기억해본다. 어린 시절 눈 내리는 고즈넉한 밤 따뜻한 아랫목 할머니 무릎베개에 누워 듣던 옛날이야기가 생각난다. 아마도 그 옛날이야기들이 어린날 무의식의 기억 속에 우리들 가슴속 깊이 흐르고 느껴지는 한국인의 이야기일 것이다.
한국인 이야기 –탄생 이 책은 숭고한 생명의 시작부터 우리의 어린 날 유아기 까지 지극히 한국인의 정서적 문화를 토대로 우리의 역사, 문화사, 생활사 등을 종합하여 인문학적으로 접근하여 저술되었고, 저자의 오래도록 공부하고 연구한 방대한 양의 연구활동 자료와 문헌 그리고 기타 연구 논문 등을 집합하여 저자의 폭넓은 지식을 더해 만들어낸 우리들 한국인의 탄생 이야기이다.
저자는 생명의 기원인 태고의 바다 어머니의 양수, 어머니의 바다 이야기를 통해 생명탄생은 탄생 이전 태내에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본다고 이야기 한다.
우리는 아이가 어머니의 배내 속에서 꿈틀거리기 시작하면 ‘튼튼이’, ‘행복이’, ‘사랑이’ 등 태명을 짓기 시작한다. 지금은 더 독창적이고 한국적인 태명을 짓고 있지만.
태명을 짓는 것은 외국에는 없는 우리만이 가지고 있는 문화일 것이다.
태명을 짓는 이유는 아직 세상에 나오기 전 아기지만 하나의 생명체로 인식하기 위함이고 또한 태명을 지어주는 것으로 배속 아기와 엄마의 소통을 통한 유대관계 지속과 증대를 위한 오래전부터 있어왔던 한국민의 정서 때문 일 것이다.
또한 서양에서는 아이가 태어나면 0살이 되지만 우리는 어떠한 가! 때어나자마자 한 살이 된다. 이 또한 우리민족은 배속에 태아에서부터 생명체를 존중하고 소중하게 생각하였던 것이다.
아이가 태어나면 산모에게 아이를 낳고 미역국을 먹는 산후 조리이야기, 숭고하고 경의로운 출산의 이야기 등을 외국에는 없는 우리만의 문화를 인문학적 방대한 자료를 통해 이야기 하고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도 놀래고 갈 우리의 ‘떼기’, ‘떼다’ 의 언어적 문화는 배꼽 떼기, 젖 떼기, 기저귀 떼기, 발 떼기, 한극 떼기 등 아무도 논하지도 이야기하지 않았던 우리들의 실생활인 이야기들을 어떻게 이렇게 인문학적으로 표현을 할 수 있는지 이 책을 보며 우리의 작은 것 하나부터 소중하고 공부해야 하겠다고 많은 것을 배운다.
마지막으로 이어령선생님이 지금 투병 중인 걸로 알고 있다. 좀 더 힘을 내서 한국인 이야기를 마무리 하고 아마도 한국인 이야기 시리즈가 마무리 된다면 이 책이 바로 대표하는 한국학서적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