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련 - 선지식과 역사를 만나는 절집 여행
제운 옮김, 양근모 사진 / 청년정신 / 2021년 5월
평점 :
주련 사전적의미로 기둥이나 벽 따위에 장식 삼아 세로로 써서 붙이는 글씨를 말한다.
궁궐, 관청, 고택, 자연과 어우러진 정자, 사찰 등 옛 건축물 기둥을 보면 세로로 글이 쓰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궁궐, 관청 주련에서는 자연을 노래하고 정치적 이상향과 자연을 노래한 시구가 많고,
고택에서는 옛 선비에 기개와 결기를 느낄 수 있고, 사찰에서의 주련은 부처님의 말씀과 가르침을 담고 있다.
바로 이 책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오래되고 유명한 산사들을 소개하고 있다.
책에서는 사찰에서 볼 수 있는 주련을 소개하고 있는데 솔직히 한자도 어렵지만 어떤 뜻인지 아예 모르기에 그냥 지나칠 때가 많았을 것이다.
하지만 자연과 하나 됨을 사찰 처마 끝 풍경을 보며 느끼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사찰 기둥의 주련을 읽어보며 절을 찾는 사람들 마음을 스스로 치유할 수 있을 것이다.
솔직히 옛 건축물이나 사찰을 보거나 방문했을 때 기둥에 쓰여 있는 주련은 보여도 그리 관심을 가지고 주의 깊게 보지는 않았다. 아마도 그 뜻도 잘 모르고 해서 그냥 지나쳤던 것 같다.
이 책에서 사찰 속 주련의 뜻을 헤아려 부처님의 가르침과 고승들에 선지식을 배우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을 통해 옛 건축물을 바라볼 때 건물이 짓기까지의 과정과 의미를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부여하였는지를 주련이라는 작품을 통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고,
주련이 주는 매력은 여행의 또 다른 팁으로 배울 수 있었다.
이 책에서는 고즈넉한 산사에서 만나는 고승들에 이야기 속에 선지식을 배우고 우리나라의 불교역사와 사상을 이해하고 배울 수 있을 것이며 산사 속 우리의 지나온 역사들을 만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저자의 수려한 문장과 정갈한 글은 책을 읽는 내내 점점 빠져 들면서 창밖의 빗소리가 조용한 기도소리로 내 귓속을 맴도는 것처럼 부드러우면서도 차분하게 내게로 다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