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황새풀 (Scirpus hudsonianus)

과(科) : 사초과   

꽃색상 :    개화기 :

<작품설명>
우리나라 황새풀은 북부 습지에서 주로 나는데 소개하고 있는 애기황새풀은 일본에서 구입하여 적옥토70,마사토30을 섞어 식재하여 관리해 온 작품이다. 습지식물 이므로 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주요 분포지와 자생지의 특성>
높은 산의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짧게 벋고 마디에서 줄기가 1개씩 나온다. 줄기는 가늘고 세모지며 예리하게 모가 진 줄이 있고 높이가 10∼30cm이다. 잎은 퇴화하여 잎몸이 없고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잎집만이 남아 줄기 밑 부분에서 줄기를 감싼다.

꽃은 6∼7월에 피고 줄기 끝에 1개의 작은이삭이 달린다. 작은이삭은 넓은 바소꼴이고 길이가 5∼7mm이며 다 자라면 좁은 달걀 모양으로 변한다. 작은이삭은 5∼10개의 꽃이 달리며 붉은빛이 도는 갈색을 띤다. 작은이삭 밑 부분에 있는 비늘 조각은 길이가 4∼5mm이고 타원 모양이며 3개의 맥이 있다. 윗부분에 있는 비늘 조각은 긴 타원 모양이며 1개의 맥이 있다.

화피조각은 6개이고 흰색이며 길이가 2cm이다. 암술대는 길이가 4mm이고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 1.3mm의 좁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포기나누기를 하면 쉽게 번식한다. 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북반구 북부 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한국에서는 함경남도와 함경북도에 분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