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의 탄생
김민식 지음 / 브.레드(b.read)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의 탄생 역사를 보면

인류의 조상들은 먼저 비, 바람을 피하고 사나운 맹수들로부터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해

움푹 파인 곳이나 동굴 등에 거쳐하며 생활을 해오다가 동굴에서 나오면서 나무를 기둥삼아 나뭇가지를 이용한 지붕을 얹는 움집을 만들면서 건축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또한 시대와 문명이 발전하면서 사회, 자연환경, 경제, 종교, 과학과 문화 등의 영향을 받아 우리의 주거문화와 건축물은 변화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 책은 우리들의 주거공간인 집의 탄생에서부터 의미까지 저자의 눈으로 세계 여러 나라 다양한 사람들의 스토리가 담겨있는 건축물을 직접 현장에서 보고 집에 관한 자신의 생각을 책에 담아내고 있다.

과거의 집을 통한 집에 대한 그리움과 추억, 마음의 안식처와 정신적 위로를 받을 수 있는 현재의 집 그리고 원시 자연에 첫 출발점으로 돌아가 건축의 기원과 본질을 찾아보고 이를 통해 미래의 집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노르웨이의 작은 통나무집, 베르사유궁전 트리아농 가든에 시골집을 보며 고향과 같은 포근함과 정식적 위로를 받는다.

카를 융과 르코르뷔지에 어머니의 집을 보며 집에 대한 그리움과 추억을 마주해 보았으며

용슬재도의 숲속의 오두막집, 세한도의 소나무 옆 초가집 작고 소박한 집을 통해 건축의 본질과 의미를 되새겨 보았다.

반 고흐의 뗏장집을 보며 참 신기하기도 했고 자연 친화적 건축이라 우리 미래의 집이 나아가야할 방향이 아닌가 생각해보았다.

 

우리의 주택건축 환경을 보면 예전에는 보기 싫다고 보수, 보전보다는 옛것을 허물었고, 초고속 성장으로 인한 획일적인 아파트가 주를 이루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최근에는 그래도 덜 하지만.

이런 상황들이 마음 아프기도 하지만 이제는 변화되어야 한다.

자연과 공간이 살아 숨 쉬는 도시계획과 건축문화에 대해 지금부터라도 좀 더 진지하게 고민하고 연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우리 미래의 집을 위해.......

 

이 책을 읽고 난 후 집에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에게 집은 어떤 의미이며 집이란 공간이 왜 안정되고 편안한지에 대해 쉬고 머무는 공간을 떠나 본질적 접근을 통해 이해하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