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체 저 인간은 왜 저러는 거야?
노주선 지음 / 길벗 / 2023년 7월
평점 :
Persona (페르소나)
페르소나(Persona)란 고대 그리스 가면극에서 배우들이 썼다가 벗었다가 하는 가면을 말하고, 원래 연극에서 쓰이는 탈(mask; character)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고 학자들은 이야기한다. 현대에 와서 Persona (페르소나)가 워낙 다양하게 쓰여서 어느 하나로 정의하긴 어렵지만, 일반적으로는 개인이 사회적 요구들에 대한 반응으로서 밖으로 표출하는 공적 얼굴로서, 실제 성격과는 다르지만, 다른 사람들의 눈에 비치는 한 개인의 모습을 의미하고 있다.
Persona (페르소나) → Person (사람) → Personality (성격)
이런 Persona (페르소나)는 Person (사람)의 어원이며, 더 나아가 Personality(성격)의 어원이기도 하다. 言語라는 것은 정말 신기한 힘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생각은 절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의 범주를 벗어날 수 없으며 (새로운 개념을 이해하려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야 한다), 語原이라고 함은 어떠한 문제나 개념의 본질을 함축하고 있을 때가 많다. 이는 Persona (페르소나)로부터 비롯된 Person (사람)과 Personality (성격)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어원의 순서를 곰곰이 생각해보면, 결국 페르소나가 사람을 정의하고, 어떻게 그 사람이 정의되었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도 정의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Personality (성격)과 Role (역할)
이 책의 글쓴이는 '나'라는 존재는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역할 (Role)을 해야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행동의 특징들을 '성격 (Pesonality)'이라고 하며, 상황과 요구에 따라서 해야만 하는 행동들을 '역할 (Role)' 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황과 요구에 따라서 해야만 하는 행동들을 '역할 (Role)'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 사람에게 요구되는 페르소나 (Persona)라고도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결국 그 사람에게 요구되는 페르소나 (Persona)가 그 사람 (Person)을 정의하고 어떻게 그 사람이 정의되었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 (Pesonality)도 정의되거나 변화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유행하는 MBTI 테스트의 경우에도 하나의 MBTI 유형이 끝까지 가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처한 상황 또는 직업 (즉, 그 사람에게 요구되는 페르소나 (Persona))에 따라 MBTI 유형이 변화한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경험으로 알고 있다. 결국 Role (역할)과 Personality (성격)이 맞지 않아 발생하는 마음의 불편함과 스트레스는 그 역할에 익숙해 짐으로써 점차 해결될 수 있지 않을까?
"'나'라는 존재는 사회적 상황에 따라 이처럼 다양한 역할 (Role)을 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행동의 특징들을 '성격 (Personality)'라고 하며, 상황과 요구에 따라서 해야만 하는 행동들을 '역할 (Role)'이라고 합니다. — 17페이지"
Persona (페르소나)의 소멸 → Person (사람)의 소멸
최근에 읽은 신형철 시인의 책 "인생의 역사"에는 이런 이야기가 있었다 (단, 사람의 기억력은 신뢰할 것이 못된다.)
"누군가가 죽었을 때 우리가 슬퍼하는 것은, 그 사람에게만 보여줄 수 있는 자신만의 모습 (Persona)를 더 이상 보여줄 수 없기 때문이다.
— 인생의 역사 中 "
예를 들어, 우리가 집에서 부모님을 만날 때는 아직도 우리는 철없은 어린아이로서의 페르소나를 가지고, 초중고 친구를 만날 때는 질풍노도의 시기를 함께 보낸 친구로서의 페르소나를 가지고, 회사에서는 각자의 위치에 따라 근엄한 상사 혹은 허둥지둥 대지만 열정을 가지는 신입사원 등의 페르소나를 가지고 있다고 할 것이다. 만약 그 누군가가 죽는다면, 우리가 그 사람 앞에서만 보여줬던 우리의 페르소나 (Persona) 역시 소멸하는 것이므로 슬퍼지는 것이라고 신형철 시인을 이야기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수많은 페르소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하나씩, 하나씩 소멸하게 될 것이다. 페르소나가 소멸함에 따라 우리의 성격 (Pesonality)도 점점 단순해져서 나이를 먹을수록 이른바 "꼰대" 같이 되는 것은 필연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다양한 연령과 다양한 직업을 가진 여러 사람을 만남으로써 우리가 쓰는 가면 (Persona)이 우리의 인간성 (Person)과 성격 (Pesonality)의 소멸 또는 문제도 막아주거나 늦추어 주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