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최초에 이른바 <좋은 책을 찾는 눈>이 없을 때 길잡이가 되어 주던 것이 바로 [네이버 오늘의 책]이었다. 그런데 우연히 다시 찾은 [네이버 오늘의 책]을 보게 되었는데 오늘의 책으로 선정된 책이 눈에 들어왔다.
바로 불확정성 원리로 유명한 하이젠베르그의 <부분과 전체>가 바로 오늘, 2월 10일의 오늘의 책에 선정된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정말 쓴 웃음 밖에 나오지 않는다. 나로 하여금 책을 읽고 나서 <분노>하게 만드는 첫 번째 책이 바로 이 책이었다.(지금까지 번역 문제로 나를 분노케 만든 책은 이 책을 포함해서 총 두 권이다.) 내가 이렇게 분노하는 이유는 바로 <번역> 때문이다. 번역자는 김용준 명예 교수로 그 유명한 도올 김용옥 선생의 형님이기도 하고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꾸준히 책도 내고 칼럼도 내시는 분이신데 나는 김용준 명예 교수가 직접 번역하지 않았다고 확신하고 있다.
약 3년 전에 썼던 이 책에 대한 내 리뷰의 일부를 아래에 옮겨 본다.
"그러나 이 책은 양자역학에 대한 개론서가 아니다. 다만 글쓴이가 어떻게 원자론과 양자역학을 전공하게 되었으며 당시 2차 세계대전 가운데서 과학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고 어떻게 [불확정성의 원리]를 발견하게 되었는지 자서전, 혹은 수필과 같은 형식으로 글을 쓰고 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곳곳에서 보이는 번역의 아쉬움이다. 심지어는 한 사람이 이야기 하는데 갑자기 말하는 뉘앙스가 바뀌기도 하고 번역기를 돌린 듯한 딱딱한 문어체로 번역해서 번역한 '김용준' 명예교수의 노력이 많이 담기지 않은 것 같다. 역자 후기에 쓰여져 있지만 원래 이 글은 일본에서 번역자외 2명이 같이 윤독하면서 당시 학생이던 김선희 양의 정리된 내용을 그대로 책으로 묶은 듯한 느낌이다. 진정으로 '김용준' 명예교수가 이 책을 번역했다면 이렇게 어색하고 딱딱한 문장을 그대로 두었을까? 예나 지금이나 교수의 이름을 걸고 명서를 번역하여 세상에 내 놓지만 실제로는 대학원생들이 번역하는 행태는 변하지 않은 것 같아서 아쉽다.
특히 제 6장에서는 오타가 많이 발견되었으며 7장에서는 6장에서 보어와 슈뢰딩거의 대화에서 누가 말했는지 명확히 하게 위해 사용한 말한 내용 앞에 말한 사람을 적어놓는 방식이 갑자기 1군데에서 사용되는 등 마치 각각의 장을 다른 사람이 번역할 듯한 모습이 많이 보인다. 일단 책 자체의 내용을 제쳐두더라도 이렇게 번역과 구성이 짜임새가 없으니 독자로서 짜증나고 번역자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는 것은 당연할 일이다. 이렇게 성의없이 번역해 놓고 높은 평점을 바라는 것은 날로 먹겠다는 심보 아닌가?
중략….
하지만 이 책의 번역에 대해 다시 한번 이야기 할 수 밖에 없다. 옮긴이인 '김용준'교수는 화학공학 전공인데 자신의 전공 내용이 아니라서 그런지 제대로 글쓴이가 이 책을 이해하고 번역을 하였는지 알 수가 없다. 번역자 또한 제대로 책의 내용을 소화하지 못하고 번역하였으니 곳곳에 구멍이 보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게다가 각 장 마다 글쓴이의 대화가 구어체로 쓰이다가 문어체로 쓰이는 등 번역의 일관성도 없었다. 번역자인 '김용준' 교수는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할 것이다."
오죽하면 리뷰 마지막에 내가 김용준 교수의 능력에 대한 의문까지 표시했을까? 서울대 화학과 명예 교수가 설마 양자역학을 이해 못했을까? 그런데 이 책 번역를 보고 있으면 김용준 교수가 진정 양자 역학을 이해하고 번역했는지 의문을 품게 된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이렇게 문제 많은 책이 <서울대 선정 100대 권장도서> 중 하나라는 것이고 <네이버 오늘의 책>에 선정되었다는 것이다.
3년 전에 썼던 내 리뷰의 마지막 글귀를 인용하면서 마무리 하자면 서울대에서 100대 권장도서를 선정한 사람은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할 것이고 네이버 오늘의 책에 이 책을 추천한 사람 역시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