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버블 

일본의 버블은 주가+부동산 동반 하락이었다. 주가는 고점 대비 82% 하락, 부동산의 경우 지방과 외곽 폭락했지만, 도심은 덜했다. 

* 아파트 리모델링시, 복도식 아파트가 계단식 보다 유리. 

- 자형으로 설계된 아파트가 ㄱ자형이나 ㄷ자형보다 그림이 나온다. 주택을 살 때에 거주 편의성 등과 같은 현재 가치만 보지 말고, 재료가 있는지 확인해야. 이왕 아파트를 사려면, 일반 아파트보다 재건축이나 리모델링 등 자체 재료를 가진 곳이 좋다. 

* 시장에 따르라 

나의 주관이 아닌 시장에 순응하는 사람만이 최종 승자가 된다. 나보다 더 똑똑한 수십만 명, 아니 수백만 명이 모여 시장을 만든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자신이 만든 함정에 빠지지 말아야 한다. 

* 비수기에 사고, 성수기에 팔아라. 

6, 11, 12월이 대표적인 비수기/ 학기 사작하는 3월과 9월 이사철은 거래를 피하라. 

* 재건축 10계명 

1. 재건축은 타이밍: 정책과 투기요인에 따라 등락을 거듭하니, 판세를 읽어라. 

2. 거주를 겸할 수 있는 곳: 중층 이상의 30평형대. 

3. 재건축도 장기투자: 근본적으로 주거환경<자본이득이 목적. 부동산 경기가 활황세로 돌아서야 수익률이 발생한다. 따라서 투자 회수 시점을 길게 잡아야만 한다. 

4. 물가수준만 벌면 다행이다 여겨라. 

5. 중층(10~14층) 단지는 로열층(7~13층)을 매입: 재건축 후 현재의 층을 그대로 분양받기 때문.  

저층(5층이하)단지는 층수가 높아지므로 상관 없다->되도록 싼 것을 매입.

6. 리모델링: 최근에는 준공연한이 15년으로 단축, 전용면적 기준 30%까지 넓힐 수 있다. 면적증가가 많은 단지를 고르는 것이 유리. 

7. 이왕이면 대지지분이 많은 곳이 좋다: 결국은 땅값이다. 같은 평형이라도 땅 면적이 넓은 곳이 좋다. 

8. 조합원의 갈등이 없는 곳이 좋다: 종소형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아파트는 중대형 중심보다는 재건축 의지가 강하고, 조합원 분쟁도 적다. 

9. 재건축 단지 내에 학교나 공원 등이 많은 곳이 유리. 

10. 신축 용적률이 높은 곳. 

* 고령 사회에서 사지 말야 할 아파트 

평지 대단위 아파트가 좋다. 경사가 있는 언덕에 지은 나홀로 아파트는 피하라. 

* 부동산 펀드: 실물형 펀드(임대형) 

수익형 빌딩을 사서 임대한 후 수익과 매매 차익을 투자자에게 배당/ 출시된 상품이 적다는 것이 단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