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함께 책을 읽고 독후감을 나누는 것이 독서클럽입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디에나 있기 마련인 책 마니아들은 으레 독서클럽을 만들지요. 지금 우리나라에도 많은 독서클럽이 활동하고 있고, 그 중 하나가 대전이 근거지인 ‘100권 독서클럽’(www.100booksclub.com)입니다. 지난 2002년 6월 출범했던 ‘100권 독서클럽’이 드디어 최근 100번째 책을 독파했다고 합니다.

‘100권 독서클럽’은 원래 한남대 교수와 학생 15명이 참가하는 학내 모임으로 출발했습니다. 교수님들이 “학생들에게 4년 동안 100권의 책은 읽게 하자”라는 취지에서 만들었지요. 하지만 인터넷과 언론을 통해 소문이 퍼지자 일반인도 참여를 원하는 사람이 늘어갔고, 1년 만에 회원이 500~600명에 이르는 큰 독서클럽이 됐습니다. 현재 회원은 약 2500명. 대전 일대의 교수와 연구원, 학생들이 중심이지만 주부와 군인도 있고 다른 지역, 심지어 해외에 있는 사람까지 참여한다고 합니다.

회원들은 평균 2주일에 한 권씩 책을 읽고, 독후감을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립니다. 그리고 대덕연구단지에 있는 전자통신연구원에서 선정 도서의 저자·역자·관련 전문가를 초청, 토론회를 갖습니다. 독서뿐 아니라 회원들끼리 역사기행을 다녀오기도 하고, 커플도 탄생했다고 합니다. 인천에는 그 노하우를 배워가서 독자적으로 활동하는 독서클럽이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100권’을 돌파했지만, ‘100권 독서클럽’은 계속 운영됩니다. 공동운영위원장인 강신철 한남대 교수는 “우리말의 ‘백(百)’에는 숫자’100’ 뿐 아니라 ‘많다’라는 의미도 있다”고 말합니다. 교수님들의 소박하고 작은 뜻이 일파만파(一波萬波)를 일으키며 퍼져가는 모습은 아름답습니다. 전국 곳곳에 더 많은 독서클럽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선민 출판팀장 [ smlee.chosun.com])조선일보 2006-09-09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리포터7 2006-09-09 1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정말 뿌듯한 기사군요..
 

며칠 전 한 출판인이 찾아와 올해 정기국회에서는 어떻게든 도서정가제가 통과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른바 한 권을 사면 한 권을 더 얹어주는 '1+1'을 주도해 베스트셀러를 여러 차례 만든 사람이었다. 그런 그가 이대로 가다가는 출판계가 공멸한다는 논리를 폈다.

자, 그의 논리를 들어보자. 매출이 집중되는 온라인서점 서너 곳의 구매담당자들은 갈수록 능력이 커진다. 한마디로 책을 좀더 싸게 구매하는 논리를 개발한다. 원래 도매상에서는 정가의 60%에 책을 공급받고 3-4개월짜리 어음을 줬다. 그런데 갑자기 등장한 온라인서점은 같은 가격에 현금을 주었다. 그래서 출판사들은 얼씨구나 하고 쫓아갔다.

온라인서점들은 한꺼번에 1000부를 주문하면서 55% 공급을 요구했지만 판매력이 커진 지금은 5천부 주문에 50%를 요구한다. 도매상에서도 자주 있던 일이라 출판사도 쉽게 따라갔다. 그런데 어느 날 쿠폰이라는 것이 생겼다. 지금 웬만한 베스트셀러에는 대부분 쿠폰이 붙어 있다. 처음에 500원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1000원 정도가 상식이다.

1만원 정가인 책에 1000원의 쿠폰이 붙으면 다시 10%가 내려간다. 따라서 출판사는 40%에 공급하는 셈이다. 이래놓고도 불안하다. 서점의 무료 배송하는 비용마저 떠안고 1만원짜리 책에 5천원 쿠폰까지 붙이는 지경이다. 심하게는 할인에다 마일리지까지 감안하면 독자는 10%도 안 되는 금액에 책을 살 수도 있다. 그러니 이벤트나 광고를 해야 하고 1+1처럼 보다 자극적인 수단도 동원해야 한다.

이래저래 모든 것을 감안하면 통상 정가의 35% 이하에 책을 공급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 금액은 통상 제작비와 맞아 떨어진다. 물론 20만 부 정도를 팔면 제작비가 어느 정도 절약되기는 한다. 그러나 인건비나 경상비는 그대로다. 그래서 전에는 20만 부 정도 팔면 이익이 짭짤했지만 지금은 종이 값과 제작비를 지불하고 나면 남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

그렇다고 '이 짓'을 하지 않을 수도 없다. 이렇게라도 해서 베스트셀러에 올려야 그나마 책이 이 세상에 태어났다는 흔적이라도 남는다. 그나마 '이 짓'을 계속 할 수 있는 출판사는 주로 '팔리는 책'만을 추구하는 대형 출판사들이다. 홈쇼핑 또한 매출만 증가하지 이익은 없기에 소수의 출판사가 독점한다. 어쨌든 그들은 자본력이 있으니 어떻게든 '이 험난한 시국'을 견뎌내겠지만 이른바 중소형 출판사는 한 치 앞을 내다보기 힘들다.

여기까지가 그가 말한 논리다. 온라인서점의 등장을 처음에 두 손 들고 반긴 것은 주로 인문사회과학 출판인이었다. '이익'보다는 '뜻'에 집중하는 그들은 기존 유통시스템에서는 '찬밥' 대우를 받았지만 온라인서점들이 현금거래 같은 미끼를 들고 나온 데다 초기화면에 자주 띄워주면서 한때 '호경기'를 만났기 때문이다. 그들은 온라인서점 칭찬에 침 마를 날이 없었다. 그런 그들이 지금은 도서정가제에 목숨을 건다.

그때 나는 '자본'에게 도덕이나 양심을 기대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그들을 움직이는 유일한 축은 '이익'일 뿐이라고, 머지않아 그 원리를 깨닫게 될 것이라고 말이다. 지금 이 땅의 출판인들은 그 지엄한 '철칙'에 몸을 떨고 있다. 자, 그러면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할 것인가? 그 답은 여러분의 가슴속에 이미 똬리를 틀고 있을 것이다.

기사게재 : <한겨레> 2006.8.25

출처: 한국 출판 마케팅 연구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데릭 포사이드의 ‘자칼의 날’(국일미디어, 2006) = 스릴러 대가의 대표작. 프랑스 대통령을 암살하기 위해 고용된 악명 높은 살인청부업자 자칼과 그를 추적하는 형사의 숨막히는 대결이 그려져 있다. 1970년대에 발표된 이 작품을 흔히 첩보 스릴러의 교과서라고 부른다. 그만큼 구성이 탄탄하고 긴장감이 넘친다.

◆토머스 해리스의 ‘레드 드래건’(창해, 1999) = ‘양들의 침묵’과 ‘한니발’로 더 잘 알려진 토머스 해리스의 1981년 작. 이 작품에서 그 유명한 한니발 렉터 박사가 처음 등장한다. 이 작품이 발표된 지도 어언 20년이 지났는데, 그동안 두번이나 영화로 만들어질 정도로 캐릭터와 이야기구조가 독특하다.

◆김진명의 ‘신의 죽음’(대산, 2006) = 한국형 팩션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다. 김일성의 죽음과 중국의 동북공정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매개로 충분히 있을 법한 이야기를 펼치고 있다. 다소 과장된 부분이 눈에 띄기도 하지만 분명 그는 한국에서 색다른 실험을 계속 해나가고 있는 보기 드문 작가다.

◆장 크리스토퍼 그랑제의 ‘크림슨 리버’(문학동네, 2006) = 프랑스의 댄 브라운이라고 평가받는 장 크리스토퍼 그랑제의 1998년 작. 할리우드 스릴러 영화를 보는 듯한 빠른 진행과 기상천외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마티유 카소비츠 감독에 의해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앨런 폴섬의 ‘모레’(넥서스, 2005) = 전 세계적으로 500만부가 넘게 팔렸다고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을 계기로 폴섬은 기록적인 선인세를 받고 차기작을 준비했다고 한다. 스케일이 크고 구성이 탄탄한데다 지적이며 속도감이 있어서 마지막 페이지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다.

◆엘리자베스 코스토바의 ‘히스토리언’(김영사, 2005) = 드라큘라의 존재를 찾아나선 역사가들의 흥미진진한 활약상이 담겨 있다.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한 동유럽의 역사적 사실과 유럽 각 지역의 낯선 풍경들이 흥미로운 이야기와 더불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곧 영화로 만들어질 예정.











※모중석씨는 자신의 이름을 딴 ‘스릴러클럽’시리즈를 펴내고 있는 출판기획자 겸 소설가. 얼굴을 드러내지 않아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그는 “이번 추천 작품 목록은 고전과 최근에 나온 책들 중에서 적절히 섞어 고르되, 절판된 책들은 제외했다”고 전했다.  


 









문화일보 2006/07/14 장재선기자 jeijei@munhwa.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