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그림자 - 멕시코 한 혁명가로부터 온 편지
마르코스 지음, 윤길순 옮김 / 삼인 / 1999년 3월
품절


예를 들면,
그들은 우리에게 이렇게 가르쳤어요. 나라 사랑이란
예를 들면,
국기에 대해 경례하는 것,
똑바로 서서 국가를 듣는 것이라고.
국가 대표 축구팀이 지면
맘껏 취하는 것이라고.
국가 대표 축구팀이 이기면
맘껏 취하는 것이라고.
대통령 임기가 바뀌어도 거의 변하지 않는
그 밖의 여러 가지 것들이라고.-227쪽쪽

그리고 예를 들면,
그들은 이렇게 가르치지 않았어요. 나라 사랑이란
예를 들어,
저 멀리 도망치는 어떤 사람처럼
휘파람을 부는 것일 수도 있다고,
그러나
그 언덕 너머에도 역시 우리의 조국이 있고, 거기에선 아무도 지켜보는 사람이 없으며,
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마음을 열고
(지켜보는 사람이 아무도 없으면
사람들은 으레 마음을 여니까)
그리고 우리는 말한다고
(우리의 조국에게)
예를 들면,
우리가 그것을 얼마나 미워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그것을 얼마나 사랑하는지
그리고 언제나 이렇게 말하기가 더 좋다고,-227쪽쪽

그리고 예를 들어,
그들은 우리에게 이렇게 가르쳤어요, 나라 사랑이란
예를 들면,
커다란 솜브레로를 쓰는 것이라고,
차풀테펙의 소년 영웅들(1847년 미군의 공격에 맞서 멕시코시티를 지키고자 목숨 바쳤던, 차풀테펙 성의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의 이름을 달달 외는 것이라고,
"영원히 멕시코와 함께 살리라!"고 외치는 것이라고,
설사 멕시코가 죽어 땅 밑에 들어가더라도.
대통령 임기가 바뀌어도 거의 변하지 않는
그 밖의 여러 가지 것들이라고.-228쪽쪽

그리고, 예를 들면,
그들은 우리에게 이렇게 가르치지 않았어요,
나라 사랑이란
예를 들면
죽어 있는 사람처럼 침묵에 잠기는 것일 수도 있다고,
그러나 아니,
이 땅 밑에도 역시 조국이 있고
그곳에선 아무도 우리의 말을 듣지 않으며,
그리고 우리는 마음을 열고
(아무도 듣고 있지 않으면
사람들은 언제나 마음을 여니까)
그리고 말한다고
(우리 조국에게)
조국을 사랑하기 위해
계속 죽어 갔던 사람들의,
나에게 동의하기에 더 이상 여기에 있지 않는 사람들의
어려웠던 짧은 이야기를,-228쪽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