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미래전략 2026 - AI 권력 어떻게 활용하고 통제할 것인가?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지음 / 김영사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가 다르게 정보와 지식의 유효 기간이 단축되고 있다. 특히 AI와 관련하여 세계의 각국들은 국가의 명운을 걸고 총성이 없는 전쟁을 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2라운드 경쟁은 누가 AI 선진 기술을 압도해 가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가뿐만 아니라 빅테크 기업들이 경제 영역을 넘어 심지어 정치의 영역까지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는 추세다.

2026년을 불과 한 달을 앞두고 있다. 2026년 각종 트렌드를 담은 책들이 발간되고 있다. 그중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카이스트 미래전략 2026」이다. 내용면에서 있어서 그 어느 종류의 트렌드를 알려주는 책보다 알차고 뛰어난 정보가 담겨 있다. 카이스트라는 전문 기관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참여한 것이 내용의 충실도를 높였으리라 생각된다. 무엇보다 AI와 관련한 이슈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곳이 카이스라라고 본다. 앞으로 AI를 모르고서는 미래를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독자들의 일독을 권한다.

기술은 사회를 변혁시킨다. AI 기술은 일자리뿐만 아니라 노동, 교육, 의료, 자동차, 국방 등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거론되는 핵심 기술이다. AI 기술을 누가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AI 권력'을 손에 쥘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이 할 수 있는 일들이 AI로 대체될 때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논의해야 할 때다. 사회적 합의를 통해 법도 개정해야 할 때다. 다만 AI를 두려워한 나머지 AI 기술 자체를 반대하거나 소극적으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국가뿐만 아니라 각 개인도 AI의 원리와 다양한 활용 방안들을 생각할 때다.

이미 AI 혁신은 돌이킬 수 없는 물결이 되었다. 물결에 휩쓸려 갈 것인지 물결을 유연하게 탈 것인지 우리에게 달려 있다.

https://blog.naver.com/bookwoods/22408502904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