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어디로 가나? - 12.3 계엄 이후
권수경 외 지음 / 야다북스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교회, 어디로 가나?』는 기윤실연속토론회에서 여섯 명의 발제자들이 연구물을 토대로 한국교회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바라보며 발제한 내용을 모은 책이다. 한국교회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한국교회의 역사를 톺아보아야 한다. 그 이유는 옥성득 교수의 말처럼 역사는 우리가 현재주의에 매몰되지 않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신학은 복음과 상황의 만남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 지형은 이사장은 한국교회가 언제부터 '신앙적 정체성'을 분명히 한다고 하면서 '사회적 연관성'을 무시했다고 일침을 가한다. 교회가 자기 집단의 만족을 위한 닫힌 모임으로 변질될 때 '세상을 돌보며 섬기는 본질적인 사명'을 잃게 된다고 슬픈 현실을 고백한다.

"기독교의 본질은 신앙적 정체성과 사회적 연관성에 있다"

그리스도인으로의 변화는 인격과 일상의 변화로 이어져야 한다. '인격은 속사람이고 일상은 실제의 삶'이다. 인격이 변하지 않으면 일상이 바뀔 수 없다는 말에 공감한다.

권수경 목사의 「한국교회의 우상 숭배 : 권력, 재물, 이념」은 한국 기독교의 가장 무서운 적이다. 권력을 하나님 이상으로 의지했을 때 공의와 인권, 자유와 약자 보호 등 성경적 가치를 지켜내기가 어렵다는 것은 과거 우리의 정치적 역사에서 확연히 살펴볼 수 있다. 현재 심히 우려가 되는 현상은 기독교 민족주의다. 폭력적인 현상으로 둔갑하고 있다. 복음의 공의와 자비에 대해 침묵한다. 이것은 온전한 복음이 아니라 반쪽 복음에 불과하다. 국가조찬기도회의 폐해에 대해 기술한 부분은 권력을 탐하는 것이 곧 우상 숭배임을 알게 해 준다.

성경에서 재물에 대해 누차 강조하는 이유는 풍요한 재물이 가난보다 우리를 물질의 노예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재물은 얻을 때도 쓸 때도 이웃을 생각해야 한다. 하나님과 돈을 함께 섬길 수 없다. 교회가 먼저 서로 나누고 더불어 사는 삶의 본을 보여야 할 텐데 재물에 굴복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한국교회는 성경과 정반대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특정한 이념도 우상이 될 수 있다. 배덕만 교수의 「트럼프, 근본주의, 그리고 한국교회」의 글에서 볼 수 있듯이 현재 트럼프의 미국, 근본주의는 한국교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박성철 교수의 「한국교회와 기독교 극우의 문제」는 일부 극우적 현상에 매몰되어 있는 기독교인들의 단적인 모습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한국교회는 그리스도의 주권이 일상의 삶에 보편적으로 구현되도록 해야 한다. 삶에서 정직한 삶이 왜 중요한지, 무엇이 공의며 정의인지, 어떤 행동이 자비로운 것인지 생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종교적 영역만 강조할 것이 아니라 사회 구조 문제에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권력과 재물, 이념의 그늘에 벗어나지 못하는 기독교는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할 수밖에 없다.

"구원을 경험한 이들은 믿음과 행위가 같다" 성경의 말씀대로 행하는 삶이어야 한다. 종교색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정의와 겸손을 나타내야 한다.

『한국교회, 어디로 가나?』는 현재 한국교회의 민낯을 여과 없이 보여주고 있다. 반성적 성찰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지름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