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수와 권세 - 전체주의 공포와 기능장애에 빠진 민주국가들에서 기독교의 정치적 증언
톰 라이트.마이클 F. 버드 지음, 홍종락 옮김 / 야다북스 / 2025년 1월
평점 :

정치신학 입문서라고 할 수 있는 톰 라이트 & 마이클 F. 버드의 『예수와 권세』는 그리스도인들의 정치 참여에 대해 성경적 근거와 역사적 사례들을 들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더 나아가 기독교 공동체(교회)가 세상 권세의 문제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적절한 답을 안내하고 있다.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을 믿는 자녀이면서 동시에 시민으로 살아간다. 정치에 관여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치적 현안에 대해 회피하거나 무관심하는 태도는 하나님이 기뻐하시지 않으신다. '겸손을 가장한 무관심은 경계'해야 한다. '권력을 향해 진리를 말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정치 문제에 대해 기독교적 사고방식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신플라톤주의자들은 개인의 영혼에만 방점을 두고 '천국에 있는 하나님의 임재로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종교적 소비자에 머무르게 한다. 가장 큰 위협은 교회가 텅텅 비는 일이 아니라 '사람들의 냉담함과 무관심'이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성령을 주신 이유는 무엇인가?
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는 곳이다. 하나님의 구원과 회복을 이야기하고 하나님의 일하심을 드러내야 한다. 직접적으로 하나님이 왕이심을 증거해야 한다. 모든 권위는 왕이신 하나님으로부터 나온다. 권위를 받은 사람에게는 책임이 뒤따른다. 권위에는 문제가 많다. 남용, 오용은 교만이자 오만이다. 교회는 '세상 권력에 거울을 들이대고 권력자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권력을 향해 진리를 말해야 한다. '약함 속의 권력, 겸손한 섬김을 통한 권력, 자기희생을 통한 권력'이라는 성경이 말하는 삶의 방식을 보여주어야 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 위에 군림해서는 안 된다'
교회가 소명을 잃을 때 한낱 국가의 도구가 된다. 기독교 민족주의가 대표적 사례다. 기독교 민족주의는 복음을 부정한다. 피상적인 기독교일 뿐이다. 국가가 종교를 규제한다. '십자가 없는 하나님 나라'를 추구한다. 특정한 국가적 야망을 뒷받침하는 용도로 기독교 민족주의가 사용되고 있다. '기독교 민족주의는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에게 위험'하다. 시민 불복종이 필요할 때가 있다. 부당한 법률 앞에서는 민주적 절차에 따라 저항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스도인에게 있어 권력은 선을 위한 하나님의 일꾼이다. 권력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우리는 국가에 복종할 명분이 선다. 선을 위해 권력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국가에 맹목적으로 복종할 이유가 없다. 권력은 한계가 있다. 하나님만이 진정한 권위이기 때문이다. 국가는 위임받은 것이고 허가받은 것이다. '모든 권리에는 한계가 있고, 모든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권력을 얻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자신의 이익과 이념을 추구하기 위해 정치권력을 쥐려고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권위가 위에 있는 신으로부터 위임된 것이 아니라'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정치는 불과 같아서 너무 가까이 다가가면 타버리고, 너무 멀리 떨어지면 얼어붙는다' 『예수와 권세』를 통해 그리스도인들이 권위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뱀 같은 지혜를 얻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