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인 출판사의 슬픔과 기쁨
조은혜 외 지음 / 느린서재 / 2024년 9월
평점 :

나부터라도 1인 출판사가 펴낸 책을 찾고 읽은 뒤에 소개하는 글을 부지런히 써야겠다. 요즘 시장에 가더라도 대형 마트에 밀려 작은 가게들은 손님이 없어 아우성이다. 편리함과 경제성, 접근성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발걸음이 대형 마트로 가게 된다. 의식적으로 상생하자는 의미에서 작은 가게들을 찾지 않으면 점점 살아남기가 힘든 세상이다. 생물에도 다양성이 필요하듯이 가게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출판사도 똑같은 원리다. 대형 출판사들은 자본력이 탁월하기에 유명 작가, 좋은 원고, 훌륭한 마케팅으로 마태의 효과를 톡톡히 누린다.
반면 작은 출판사, 지역에 거점을 두고 있는 출판사, 『1인 출판사의 슬픔과 기쁨』에 나오는 1인 출판사들이 펴낸 책을 의식적으로 찾아 읽지 않으면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고 없어지는 것이 자본력이 약한 1인 출판사의 슬픈 현실이다. (책에 나온 1인 출판사로는 모로, 마름모, 발코니, 꿈꾸는 인생, 책나물, 책덕, 세나북스, 봄날의 곰, 혜윰터)
1인 출판사 대표님 말씀처럼 직접 돈을 주고 책을 사기가 그렇다면 1인 출판사가 펴낸 책들을 공공 도서관 희망 도서로 신청해 달라고 간곡히 부탁한다. 책을 출판하기 위해서는 좋은 원고를 만나야 한다. 좋은 원고를 만나기 위해서는 좋은 작가를 만나야 한다. 편집과 교정 교열, 디자인 등은 어떻게든 대표 혼자 하더라도 다른 나머지 중요한 만남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돈이다. 베스트셀러를 히트 치면 다음 책을 기약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강제 휴업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다.
"도서 정가 평균이 물가 상승률과 비례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난다. 1인 출판사가 책만 만들어도 먹고사는 삶이, 작가가 글만 써도 먹고사는 삶이 가능해야만 한다" _51쪽
좋은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책에만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생각의 밀도가 질의 차이로 나타난다'라고 1인 출판사 대표들은 이야기한다. 현실은 생각에 집중할 여력이 없는 것이 1인 출판사의 상황이다. '사람들이 지갑을 여는 콘텐츠는 무엇이고, 책으로 만들어야만 하는 것은 무엇일까'를 고민해도 책이 팔리느냐 마느냐를 시장에 맡겨야 하는 상황인데 일단 책을 만들 여건이 불안정하니 슬픔을 속으로 삼키며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한 가닥의 희망을 품고 전혀 예상치 못했던 일들도 일어날 수 있다는 작은 소망을 붙잡고 지금도 1인 출판사를 운영하고 있는 대표님들의 정성과 노력을 응원하며 부디 폐업만은 하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