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한 자전거 여행 3 - 그 애와 함께 창비아동문고 328
김남중 지음, 오승민 그림 / 창비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량한 자전거 여행은 작가의 경험을 통해 쓰인 책이다. 자전거로 전국 일주를 한 경험을 바탕으로 생생하게 여행 일지를 기록하듯 써 내려간 글이다. 마치 자전거 여행 가이드 책을 보는 듯하다. 아마 불량한 자전거 여행 4권 시리즈를 몽땅 읽고 그 코스대로 자전거 여행을 떠나 보는 것도 이 책이 독자들에게 주는 선물일 것 같다. 

 

불량한 자전거 여행 3은 제주도 섬 한 바퀴를 자전거로 일주하는 여정이다. 초등학생이 자전거로 제주도 일주를 할 때 어디에서 잠을 자고 어느 정도 하루거리를 잡아야 할지 판단할 수 있다. 자전거로 제주도를 일주한다면 제주도의 속살을 꼼꼼히 살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안전만 보장된다면 학교나 학급 단위에서 현장체험학습으로 한 번 도전해 볼 만할 것 같다. 아니면 연수 프로그램으로 제주도 자전 일주도 좋을 것 같다. 나를 찾아가는 여행이라고 할까.

 

여행은 걸어 다니는 독서라고 흔히들 말한다. 여행이 주는 남다른 의미가 크기 때문일 거다. 여행은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일상에서 잠깐 벗어나 낯선 세상을 만나고 익숙한 환경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나를 만날 수 있다. 편한 여행보다는 불량한 여행이 좋다. 안락한 여행보다는 불편한 여행이 주는 보람이 더 크다. 즐기고 맛보는 여행이 아니라 생각하고 땀을 내는 여행이지만 결국은 나를 돌아보게 한다. 

 

공부란 결국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는 과정이라고 본다. 누가 시켜서 하는 공부는 나와 동떨어진 일에 불과하다. 자발적인 공부라야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다. 나를 성장시킬 수 있다. 불량한 자전거 여행은 돈 내 거도 할 수 없는 소중한 여행이다. 영양가 없는 여행처럼 보이겠지만 불량한 자전거 여행이야말로 영양 만점 공부다. 

 

누구든지 혼자일 때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자전거 여행은 누군가 대신 끌어줄 수 없다. 자신이 페달을 밟아 목적지를 향해 가야 한다. 아주 정직한 여행이다. 공부란 정직함을 배우는 것이다. 남을 속이고 이기적인 모습으로 자라는 것은 진정한 공부가 아니다. 우리의 교육은 어떤가? 솔직함과 정직함을 강조하는가? 아니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겨야 한다고 말하는가? 

 

속도보다는 방향이다. 속도로 치자면 자전거보다 자동차가 훨씬 빠르다. 자전거로 하루 만에 가야 할 거리를 자동차로는 한 시간이면 족하다. 효율성을 따지면 당연히 자동차다. 한 시간만 투자하면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으니까. 그러면 속도는 빠를 수 있을지언정 풍경을 자세히 볼 수 없다. 그냥 훅훅 지나갈 뿐이다. 반면 자전거는 나의 힘으로 천천히 주변을 온몸으로 느끼며 더디지만 정직하게 목적지를 향해간다. 느림의 미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