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바다에 뜬 배 - 백제의 자존심을 지킨 세 아이 이야기 봄볕어린이문학 38
김하은.임지형.정명섭 지음, 김병하 그림 / 봄볕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제의 이야기는 고구려, 신라보다 많이 읽히지 않는 것 같다. 우리에게 전해 오는 이야기들은 대부분 왕의 이야기라든지 유명한 장군의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백성들이 어떻게 생활했는지 특히 어린아이들의 삶은 어땠는지 알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다. 다만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머릿속에 그려볼 정도다. 

 

작년에 익산에 다녀올 기회가 있었다. 익산은 옛 백제의 왕궁터가 있는 곳이자 미륵사지 석탑이 있는 곳이다. 익산의 옛 지명은 금마저였다. 사비(부여), 웅진(공주)과 같은 수도를 배경으로 백제의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곳은 백제의 자존심이라고 불린다. 백제 사람들은 손재주가 탁월했다. 기와를 만드는 일은 섬세한 기술이 필요한 작업이었다. 아무리 기둥이 튼튼하더라도 기와의 무게가 천차만별이면 기껏해야 50년 밖에 버티지 못했다. 오랜 세월 집이 쓰러지지 않기 위해서는 기와의 무게가 같아야 했으며 비가 새지 않기 위해서는 특별히 수기와와 암기와가 그 역할에 맞게 만들어져야 했다. 모두 백제의 장인을 통해 만들어졌다. 

 

기와뿐인가. 백제의 유리 기술은 최고의 기술을 자랑했다.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유리병을 만드는 일에 백제 최고의 장인들이 투입되었고 은은한 빛을 내는 아름다운 유리 도구들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석탑을 만드는 기술, 목탑을 만드는 기술도 마찬가지다. 백제의 장인들은 그 기술들을 후손들에게 전수하고 끊기지 않도록 했다. 그 중심에 백제의 어린이들이 있었다고 추측된다.

 

책 제목 '하늘 바다에 뜬 배'는 하늘에서 바라본 기와지붕에 얹힌 기와를 말한다. 쓸모와 미를 생각해서 만들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검이불루 화이불치' 즉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은 미가 백제의 예술이었다. 오래된 역사일수록 가까이하지 않으면 잊힐 수밖에 없다. 역사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잇는 일이다. 과거가 없는 현재가 없듯이 미래는 과거를 통한 현재의 부단한 노력에서 찾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