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연에서 찾은 비밀 - 이익의 관물편 우리 고전 재미있게 읽기 시리즈
조경구 지음, 김동성 그림, 서인숙 감수, 이익 원작 / 한국고전번역원 / 2016년 9월
평점 :
품절



한국고전번역원에서 이익의 『관물편』을 오늘날의 이야기로 읽기 쉽게 번역해 놓았다. 조선 후기 대표적인 실학자였던 이익의 글을 대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고마운 일이다. 참고로 이익은 아버지를 일찍 여의었다. 귀양지에서 돌아간 아버지의 영향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평생 공부에만 전념했다. 커다란 호수가 있는 곳에 머물며 잡다한 세상의 이치를 글로 쓰며 후학을 양성했다. 그의 호가 성호이고 글의 글도 성호사설이라고 한 이유다. 

 

『관물편』은 세상의 미물이라도 그 속에 배울 것이 있다고 말한다. 곤충, 동물, 식물, 꽃 등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그 이치에 따라 살아간다고 본다. 이익은 커다란 호수 곁에 머물며 작은 곤충이라도 유심히 관찰하며 깨달은 바를 글로 썼다. 『관물편』에서 보다시피 이익의 관찰력은 저절로 된 것이 아니다. 오랜 시간의 결과다. 사람들이 찾지 않는 곳에서 보통 사람이라면 그냥 지나칠 것들이지만 그는 평범함에서 소중한 가치를 찾아냈다. 

 

 이익이 살던 시대와 지금의 시대 사이에 시간의 간격이 꽤 크지만 그래도 변하지 않는 사실은 해 아래 새것은 없다는 점이다. 예전에 살았던 벌(곤충)이나 지금 벌이나 그 습성은 변함이 없다는 것이다. 벌의 천적은 거미도 있지만 잠자리도 그중에 하나라고 한다. 예쁘게만 보아왔던 잠자리가 벌의 천적이라니 순간 놀랬다. 참새가 보기에는 좋아 보이지 사실 농사를 짓는 농부들에게는 성가신 조류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처럼 자라나는 우리 어린이들도 자연 속에서 다양한 비밀들을 찾아냈으면 좋겠다. 자연보다는 인터넷 환경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들이 지식과 정보에는 뛰어날 수 있어도 자연이 가르쳐주는 지혜에는 둔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할 것 같다. 시간에 쫓기고 성적에 매달리는 한 자연이 주는 신비한 소리를 들을 수 없다. 지혜란 비밀이다. 누구에게만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연과 친숙해질 때 가능하다. 

 

동식물들이 자연에서 살아가는 방법에는 사람과 다른 점이 있다. 욕심이 없다는 점이다. 먹을 만큼도 먹는다. 겉보기와는 다르게 살아가는 이치가 변함이 없다. 이익 선생님이  『관물편』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자연이 사람에게 스승이 된다는 점이다. 자연에게 배워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