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구가 에너지 좀 바꿔 달래요! - 에너지 전환 ㅣ 10대 이슈톡 10
윤정훈 지음 / 글라이더 / 2024년 12월
평점 :

기후와 에너지의 문제는 환경의 영역에서 경제의 영역으로 넘어가고 있다. _ 188쪽
기후 위기의 원인은 에너지다. 에너지와 인간의 생활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에너지 사용으로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과거로 돌아가라고 한다면 찬성할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화석 에너지의 사용 증가가 이산화탄소 배출의 주원인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획기적으로 줄이는 못하는 가장 큰 이유다.
기후 위기는 지금 당장 눈앞의 문제로 인식되지 않는다. 먹고사는 것이 제일 급선무인 사람들에게 화석 에너지를 줄이고 재생 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바위에 계란 던지는 격이다. 사실 재생 에너지로의 변환 그 자체가 큰 비용이 든다. 가난한 나라에서는 수력 발전을 위한 댐을 건설할 비용도 만만치 않은 것이 사실이다. 풍력 발전, 지열 발전도 그렇다.
화석 에너지에서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은 분명한데 비용 문제가 관건이다. 에너지를 저장할 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비용이며 재생된 에너지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도 기술과 돈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원자력 발전에 대해 찬반이 극명하게 갈린다. 위험을 감수하고서도 원자력 발전에 의지하는 것도 비용 문제가 가장 큰 이유다.
갈수록 에너지 사용은 늘어날 것이다. 비용은 늘어갈 수밖에 없다. 가정에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 물론 국가의 정책 결정을 좌지우지하는 사람들의 의식전환이 제일 중요하겠지만 그렇다고 우리 모두 손을 놓고 있을 수 없다.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냉난방 온도를 1도씩 올리거나 낮추는 것이라고 한다. 에너지 소모가 적을수록 비용도 절감이 될 뿐만 아니라 기후 변화도 완화시킬 수 있다.
『지구가 에너지 좀 바꿔 달래요-에너지 전환』은 기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정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에너지 전환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화석 에너지를 대체할 재생 에너지의 장점만 다룬 것이 아니라 불편한 진실도 이야기하고 있다. 환경의 문제를 깊이 들어가 보면 결국 경제의 문제 즉 비용을 따질 수밖에 없음을 솔직하게 말한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대해 연구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자연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에너지를 인간에게 유용한 형태로 변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 세대가 살아갈 환경을 유지하는 길은 결국 에너지를 전환하려는 노력에 달려 있다. 개인을 넘어 국가와 전 세계가 머리를 맞대어야 한다. 빠르면 빠를수록 경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