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이트 타운
문경민 지음 / 은행나무 / 2022년 9월
평점 :

인간은 누구나 내면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돈에 대한 욕망, 돈을 통해 사람을 다스리고 싶은 야망, 돈과 함께 세상을 구원하겠다는 허망한 생각까지 품을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결국 함께 한 모든 사람들이 파멸에 이르고 나서야 사라지는 안개와 같은 것이 돈임을 깨닫지만 그것조차도 잠깐. 다시 기회가 주어진다면 옛 영화를 다시 누려보고자 하는 것이 사람의 속성임을.
사용하지도 않을 부동산을 소유하고자 하는 열풍은 오랫동안 우리 사회에 만연되어 왔고 급기야 초등학생들의 꿈이 조물주가 아닌 건물주라는 물질만능주의의 끝판왕을 보여주고 있다. 어른들이야 다를까. 기회가 찾아오지 않아서 그렇지 결국 여유가 있고 돈이 있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뷰 좋고 목 좋은 곳에 여러 채의 자산 취득을 위한 건물들을 다다익선으로 가지고 싶어 하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모습인 것을.
교직에 들어선지도 30년에 가까워지고 있다. 교직에 임하는 선생님들의 직업관도 달라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제는 돈이 아니면 움직이려 하지 않는다. 적당한 보상의 대가로 돈과 시간을 원한다. 워라밸이다. 탓할 수는 없다. 시대상이니까. 하지만 교사로서의 아이들을 향한 열정 있는 태도로 대했던 수많은 선생님들을 보아왔기에 지금의 현실이 아쉽게 다가온다.
『화이트 타운』은 현대판 바벨탑이다. 착착 진행될 수 있을 것 같지만 결국 혼돈과 무질서로 이룰 수 없는 꿈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선과 악을 무 자르듯이 구분할 수 없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나 또한 그렇다. 다만 불쑥 솟아오르는 욕망의 실체를 알고 절제하기 위해 노력할 뿐 나 또한 화이트 타운을 통해 욕망을 분출하기 위한 시도를 할 수 있겠다 싶다. 누군가 돗자리를 펴주며 채근 거리며 유혹의 손길을 애써 마다하지 않고 은근슬쩍 가담하려고 하지 않을지 아무도 모를 일이다.
내 안에 있는 욕망 덩어리를 살펴보자. 『화이트 타운』을 통해. 참고로 『화이트 타운』은 2021년 아르코 문학창작기금을 받은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