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ㅣ 한빛문고 1
이문열 지음 / 다림 / 1998년 12월
평점 :

개혁이냐? 안정이냐?
조직의 방향을 정해야 할 때가 있다. 새로운 학기를 앞두고 조직을 편성할 때 또는 새로운 근무지로 옮겨 갔을 때처럼 새로 무언가를 정해야 할 때 고민에 빠진다. 신규 교감일 때에는 맞지 않는 옷을 입은 사람처럼 대부분 신경을 나 자신에게 기울였다. 주변을 돌아볼 여유가 없었기에 기존에 탄탄하게 형성되어 있었던 조직의 방향에 순응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었다.
반면 교감 경력이 쌓일수록 보는 눈이 생기자 뭔가 새로운 시도를 주체적으로 하고 싶었다. 주어진 옷을 대충 입는 단계에서 꼼꼼하게 내 스타일에 맞는 옷을 찾아 입고자 신경을 썼다. 안정적인 분위기가 왠지 고여 있는 물처럼 보였다. 변화의 드라이브를 걸자 선생님들도 낌새를 알아챘다. 반응이 분분했다. 변화는 필연적으로 저항을 불러일으킨다.
관리자 유형은 크게 안정형과 개혁형으로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다. 안정형은 사람들과 부딪치려고 하지 않는다. 기존의 흐름을 애써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 최대한 저항을 줄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하고자 한다. 관리자가 직접 전면에 나서는 횟수는 줄이고 관리자를 대신하는 누군가를 내세운다. 개혁형은 합리적인 조직 운영을 꾀한다. 고여 있는 물은 썩기 마련이라는 생각으로 변화의 선봉에 관리자 본인이 앞장선다. 초기에 나타나는 반발을 예상하면서 강하게 변화의 드라이브를 건다.
둘 다 장단점이 있다.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다. 조직을 이루는 구성원의 성향에 따라 안정형으로 갈 것인지 개혁형으로 갈 것인지 선택하게 될 것 같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서 담임 선생님의 성향에 따라 학급의 분위기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엄석대'를 다르게 대하는 모습을 보며 어느 조직이든 잠재되어 있는 '엄석대'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 생각해 본다.
참고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은 작가가 글을 쓸 때 머릿속에서 정하고 있던 독자는 어린이가 아니었다고 한다. 부끄러운 고백이지만 이제야 책으로 온전히 읽게 되었다. 나도 은연중에 어린이 전용 도서로 취급하고 있었던 것 같다.
소설에 많은 등장인물이 나온다. 인물별로 다양한 생각이 든다. 이번에 읽을 때 한병태와 엄석대보다 두 분의 담임 선생님에게 마음이 갔다. 학급을 관리하는 담임 선생님들의 모습이 학교를 관리하는 나의 모습으로 다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