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사진을 찍고 싶어요 - 전 세계 아이들과 함께한 사진과 글쓰기 교육
웬디 이월드.알렉산드라 라이트풋 지음, 정경열 옮김 / 포토넷 / 2012년 11월
평점 :

사진을 통한 읽고 쓰기 교육(LTP)은 사진을 잘 찍기 위한 사진 촬영 기술을 익히는 교육이 아니라 자신을 잘 표현하기 위해 사진을 활용하는 교육이다.
웬디 이월드는 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인 전 세계 소외 계층 어린이들을 찾아가 읽고 쓰는 교육 사업을 펼친다. 가난하고 전쟁으로 인해 정든 지역을 떠나 유리하는 아동,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성장하는 아이들에게서 발견되는 가장 큰 어려운 점은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모른다는 점이다. 읽고 쓰는 문해력이 결핍되어 있다 보니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점도 문제점이다.
사진을 활용한 읽고 쓰는 교육은 기존의 전문가들이 찍은 사진이 아닌 어린이들이 직접 찍은 사진을 사용한다. 물론 카메라를 처음 접한 아이들에게 간단하게 사진 찍는 방법을 가르치는 일이 먼저이지만 대부분 쉽게 익힌다. 가장 중요한 점은 카메라를 통해 아이들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을 익히게 한다는 점이다.
아이들은 자신의 관점이 담긴 사진을 이용하여 다양한 글을 쓴다. 사진은 글쓰기에 약한 아이들에게 큰 도움이 된다. 사진은 아이들이 살아가는 세상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아이들을 둘러싼 주변 환경이 위험하더라도 아이들은 사진을 통해 새롭게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가질 수 있다. 사진은 꿈을 향해 도전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사진은 격변하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경이로운 일상을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_156쪽
갑자기 집에 고이 모셔 둔 DSLR 카메라를 작동시켜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제는 누구든지 마음만 먹는다면 손안에 든 휴대폰 카메라로 다채로운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사진에 의미를 담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 속에 담긴 세상을 읽고 쓸 때 변화가 시작된다. 사진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타인의 관점을 살펴보면 수용하는 마음도 기를 수 있다.
안데스산맥에 거주하고 있는 마야 부족의 어른들은 아이들이 카메라를 손에 쥐고 사진을 찍는 일을 매우 위험한 행동으로 규정하고 금지했지만 아이들이 찍어 준 사진 속에 드러난 자신들의 모습을 보면서 차츰 생각이 달라졌다고 한다. 자신을 직면한다는 것은 두려운 일이다. 직면을 통해 나를 알아가고 타인을 수용할 수 있다. 사진이 주는 효과다.
선생님들 중에 사진 활용 수업을 하며 아이들이 직접 찍은 사진들을 포토북으로 만들어 전시하는 사례를 본 적이 있다. 어른들보다 사진이 참신했다. 새로운 시선을 볼 수 있었다. 청출어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