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리디자인하라 - 변화의 시대에 직원의 만족도와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실전 전략
린다 그래튼 지음, 김희주 옮김 / 클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혁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고개를 끄덕이지만 막상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고개를 갸웃거리게 된다. 조직이 존재하는 특성에 따라 구성원들의 생각이 천차만별이다. 성과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조직이라면 목표 달성을 위해 업무를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적임자를 찾아 맡기게 된다. 반면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 또는 기관에서는 혁신의 필요성보다는 안정감을 우선적으로 생각한다.

학교에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느끼는 바는 일에 관한 관점이 점점 본질과 관련성이 있나 없나에 따라 가치의 순위가 확연히 달라진다는 점이다. 소위 말해서 학교에 근무하는 선생님들은 수업과 생활지도에 우선순위를 두기에 업무라고 이야기하는 각종 공문서와 일 추진에 대해 반감을 갖는다.

교사들을 움직여 학교의 비전을 달성해 나가야 하는 교감의 입장에서는 어떻게 업무를 균형 있게 공정성을 가지고 분배하느냐에 많은 고민을 하게 된다. 명분이 없는 일 추진은 구성원들의 동의를 얻기가 쉽지 않다. 아니 오히려 반감을 부추겨 다른 일조차도 추진하는 데 동력을 잃게 만든다. 매년 2월이면 새롭게 구성된 교직원들과 학년 배정뿐만 아니라 업무 분장에 대해 의논하면서 보이지 않은 갈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일반 기업체에서 사례로 든 책인 『일을 리디자인하라』에서 도움을 얻고자 천천히 읽어 보았다. 어떤 조직이든 새로운 변화 속에서 기존의 전략을 대폭 수정할 수밖에 없음을 알게 된다. 일을 새롭게 리디자인해야 할 필요성은 조직을 구성원들의 특성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연령대에 따라 관심사가 다르기에 적합한 일들을 맡길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오래된 학설인 매슬로 Maslow의 욕구 단계설은 리더들이 늘 염두에 두고 있는 부분이다. 구성원이 살아온 배경과 경험이 욕구와 욕망에 커다랗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비춰보면 왜 리더가 소통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는지 알게 된다. 일을 리디자인하기 전에 직원들을 먼저 살피는 것이 우선이다. 리더는 직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더 나아가 직원의 페르소나가 되어 욕망을 분석해 보라고 강조한다.

"만병통치약 같은 해결책이나 묘책, 그대로 모방하기만 하는 모범 사례는 없다" _101쪽

사무실이라는 공간은 서로 어울리며 일을 배워가는 장소다. 직원들의 구체적인 상황을 이해하고 현실에 공감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공간이다. 제대로 공감하면 직원들의 참여도와 충성심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업무를 분장하기 전에 사람을 신뢰하는 것이 먼저다.

오늘날 다양성과 포용성, 개방성과 공정성은 사회의 가장 큰 핵심 화두다. 업무 분장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기존의 방법을 답습하기보다 리디자인을 해야 할 이유다. 직원들이 일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한 회의의 규모는 줄이라고 권고한다. 회의 인원은 6명 이하로 유지하라는 조언은 구성원들이 회의는 참석하지만 실질적으로 회의에 참여하지 않는 사회적 태만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좋은 관리자는 사람과 일을 잇는 실이다" _272쪽

업무 흐름을 관리하고, 업무 장소와 일정을 검토하고, 집중이 필요한 일을 할 시간을 만들어 주는 사람이 관리자다. 공정성 문제를 결정하고 직원들을 존경과 품위로 대하는 사람이 관리자다. 업무 리디자인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야 할 사람은 관리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