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친구는 내가 고를래 ㅣ 내일을여는어린이 36
신미애 지음, 임나운 그림 / 내일을여는책 / 2023년 7월
평점 :

자녀를 둔 부모라면 내 자녀가 좋은 친구를 만나길 원한다.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라면 더더욱 그렇다. 자녀보다 가정 배경도 좋고 상대방 부모가 든든한 전문직 직업군이라면 마음이 놓인다. 좋은 환경 속에 자란 아이라면 인성도 좋을 것이라면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내 자녀의 친구가 공부를 잘하는 모범생이라면 함께 어울리는 시간이 많더라도 조금도 걱정하지 않는다. 그게 부모의 마음이다.
부모의 마음 그대로 자녀가 따라주면 참 좋겠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부모의 생각과 자녀의 생각은 전혀 다를 수 있다. 내 배에서 태어난 자녀라 할지라도 살아가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는 생각을 해야 할 텐데 부모는 순순히 자신의 생각대로 자라길 바란다. 심지어 친구를 선택하는 것도 부모가 간섭하고 싶어 한다. 다 내 자녀를 위한 길이라고 생각하면서 말이다. 인생을 많이 살아본 부모의 생각이 어린 자녀의 생각보다 옳다고 생각한다.
분명한 것은 부모가 자녀의 삶을 대신 살아줄 수 없다. 어릴 때에는 부모의 뜻대로 사는 것처럼 보이지만 어느 정도 머리가 굵어지면 자신의 주관이 뚜렷해진다. 부모에게는 친구가 많은 선택지 중에 한 개에 불과하지만 자라나는 자녀에게는 친구가 부모보다 더 소중한 관계다. 자녀는 친구와의 관계 속에서 성장한다. 부모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친구라도 자녀에게는 그 누구보다도 의지의 대상, 친밀한 대상이 될 수 있다.
『내 친구는 내가 고를래』 신미애 작가는 부모의 욕심이 지나치면 자녀의 삶의 송두리째 망가질 수 있음을 경고한다. 자녀의 삶은 자녀가 판단하고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맡겨야 한다고 강조한다.
자녀의 인간관계조차도 부모가 간섭하고 있는 현시대의 분위기를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