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노예 소녀 단이 ㅣ 초등 읽기대장
조경숙 지음, 김도아 그림 / 한솔수북 / 2023년 11월
평점 :

"잘못은 왕족과 대신들이 저질러 놓고 고통은 백성들이 짊어지고 있습니다" (129쪽)
리더의 실패는 곧 조직의 붕괴이자 구성원들의 피폐함으로 다가온다. 리더의 그릇된 판단의 파급력은 상당하다. 리더의 고집과 완고함은 구성원 전체를 나락으로 빠뜨린다. 병자호란 때 겪었던 수많은 백성들의 삶이 증거다. 고리타분한 체통을 중시하여 실제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을 모른 체 자신의 안위와 권력만 지키려고 했던 소위 지배층들은 철저히 외면당하고 만다.
조선의 노예 소녀 단이를 통해 허울만 가득한 사람들의 실상을 파헤치며 오히려 나라와 백성을 살피는 이들은 민초들임을 다시 한번 말해준다. 병자호란이라는 치욕적인 일을 겪으면서 가장 고통을 받은 사람들은 힘이 약한 백성들이었다. 노예로 팔려간 여인들이 받아야 했던 수모는 이루 말할 수 없다. 치욕을 감당해야 내야 했고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노비를 팔려가고 먹을 것을 구걸해야 했다. 나라 잃은 삶의 결과이자 리더십의 부재의 모습이다.
다만 그 악조건 속에서도 깨어 있는 몇몇 리더들은 정신을 차리고 백성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 돌아보며 자신이 생각했던 형식과 명분과 체통을 벗어던져 버리고 현실을 새롭게 바라본다. 소현세자와 그 세자빈이 그러했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왕족이지만 일반 사람들과 함께 농사를 짓고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는 일들을 생각해 내고 추진했으니 말이다.
지금 우리들의 모습은 어떠한가? 최근 신문 기사를 보니 부의 양극화가 점점 벌어지고 있고 극빈층이 전체의 30%를 차지한다고 한다. 경각심을 가져야 할 시기다.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리더를 세워야 할 때다. 개인의 이익이 아닌 전체를 볼 줄 아는 사람이 리더십을 가져야 할 때다. 임진왜란, 병자호란, 일제강점기,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깨달았을 터인데 아쉬운 대목이다. 치욕의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