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를 위한 멘탈 수업 - 압도적 성과를 올리는 사람들의 7단계 성장 전략
윤대현.장은지 지음 / 인플루엔셜(주) / 2021년 10월
평점 :

"리더의 권력은 부하직원들로부터 나온다" (284쪽)
리더라고 해서 리더십을 갖춘 것은 아니다. 반대로 리더십은 갖추면 리더로 부름받을 가능성이 높다. 리더가 리더십을 공부해야 이유는 지속 가능한 리더가 되기 위함이다. 리더로 성장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지만 리더로 계속 유지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리더로 성장하는 단계에서는 끊임없는 노력과 열정이 거름이 되었겠지만 리더로 계속 남아 있기 위해서는 자기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자기를 관리한다는 것은 곧 자신의 마음을 잘 다스려야 한다는 뜻이다.
『리더를 위한 멘탈 수업』은 리더로서 무너지기 쉬운 사례를 중심으로 멘탈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이야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리더이거나 앞으로 리더가 될 분들이라면 간과하기 쉬운 멘탈에 대해 깊이 들여다볼 수 있는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나와 다른 그들의 생각을 오히려 세상을 이해하는 훌륭한 자원으로 생각하라" _130쪽. 한스 로슬링(의사, 보건통계학자)
과거의 달리 지금은 각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시대다. 서로 다른 다양한 성격을 인정하며 그 자체로 존중받을 때 소속감을 가지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시대다. 리더가 성장한다는 것은 리더십이 함께 성장할 때 가능하다. 곧 직원들이 함께 성장해야 조직이 성장하고 리더가 성장하는 시대다. 리더의 일은 모두의 힘을 빌리는 것이다. 다 함께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하는 일이 리더가 해야 할 일이다. 구성원들과 좋은 관계가 필수 조건이다. 공감과 경청이 필요한 이유다. 공감과 경청은 일에 있어서 주도성을 발휘하게 만들며 권한을 책임 있게 수행하도록 만든다.
구성원들로부터 인정받는 리더십은 자신의 취약성, 문제점을 드러내는 리더에게 나타난다. 실패의 경험도 투명하게 공유하고 심리적 안전감을 가질 수 있도록 자신의 잘못을 쿨하게 나타낸다. 사과를 잘 하는 것, 진심 어린 사과도 리더십이다. 변명하지 않고 자기 합리화를 하지 않는 것이 진정성 있는 리더십이다. 신리를 잃은 리더는 설자리가 없다.
"사람을 얻는 자가 천하를 얻는다!" (183쪽)
리더는 조직 전체의 비전을 제시하고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이다. 숲 전체를 조망해야 한다. 멀리 보며 함께 가야 한다. 일이란 조직에서 함께하는 사람들이 만들어낸 결과다. 리더십이 확장될수록 도움을 잘 끌어내는 사람이다. 어떻게 모든 문제를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가? 자기의 일만 잘하는 사람은 리더가 아니다. 리더는 다른 사람을 도와서 성과를 내는 사람이다. "조직의 성과를 내고자 하는 리더에게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178쪽)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은 소통 능력이다. 소통이란 보이지 않는 협력이다. 소통을 할 때 직설적인 화법보다는 메타포를 활용한 설득법을 권장한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에 잘 웃어주는 것도 하나의 소통 방법이다.
"거절을 하나의 의견으로 받아들여라!" (216쪽)
리더는 거절에 대한 내성을 키울 필요가 있다. 멘탈 관리다. 제안을 거절했을 뿐이지 존재를 부정한 것은 아니다. 거절은 진실이 아니라 의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