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의 질문법 - 조직의 성과를 이끄는 신뢰와 협력의 소통 전략
에드거 H. 샤인.피터 샤인 지음, 노승영 옮김 / 심심 / 2022년 3월
평점 :

리더가 모든 정보를 다 알 수 없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리더 혼자서 방향을 결정할 수 없을 만큼 불확실한 사회가 되어가고 있다. 리더가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은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한데 저자는 뜬금없이 '겸손한 질문'을 생활화하라고 강조한다.
리더는 자신의 질문법을 바뀌어야 한다!
단언보다 질문에 높은 가치를 두어야 한다. 겸손한 질문은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는 것이다. 사람을 만나기 전에 선입견을 가지고 확신하지 않는 것이다. 겸손한 질문은 태도이자 과정이다. 지시하거나 과시하지 않는 것이다. 상대방을 향한 호기심과 관심을 바탕으로 관계를 맺는 기술이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는 일이다.
"우리가 알아야 할 게 또 뭐가 있을까요?"
"어떻게 해서 이 상황에 이르게 되었을까요?"
"예를 들어주시겠습니까?"
"뭘 해야 할까요?"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질문의 내용보다 맥락이 더 중요하다. 상대방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리더는 구성원들과 상호 의존해야 한다. 리더는 도움을 요청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함께 배워가야 한다. 상대방을 필수적 동반자로 인정해야 하며 관심과 호기심을 보여야 한다. 특히 안전을 다루어야 할 상황에서는 서열을 뛰어넘어 허심탄회하게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겸손이 질문에 배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귀를 기울이는 것은 능력이다!
겸손한 질문은 관심을 전달한다.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일이다. 신뢰를 쌓을 수 있다. 리더는 자신의 약점을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을 수 있어야 한다. 단언하지 않고 세련되게 질문하는 기술이다. 주제넘은 충고와 청하지도 않은 조언, 단언하는 말은 상대를 하대하는 것이다. 대화의 목표는 소통이며 관계다. 자신을 낮추어야 한다. 대화를 자기 위주로 끌어가는 것이 아니라 신뢰를 쌓아야 한다. 듣는 사람의 자리에 머물러야 한다.
겸손한 질문을 통해 모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잡한 상황이 파악된다. 관계가 촘촘해진다. 다른 관점, 새로운 틀에서 바라볼 수 있다. 물론 단도직입적인 질문을 다 나쁜 것은 아니다. 다만 질문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하며 중간중간 겸손한 질문을 곁들이면 좋다.
리더의 질문법이 바뀌면 모두가 오너십을 가질 수 있다. 주체적으로 책임 의식을 가지고 일할 수 있다. 리더는 협력자다. 리더의 모든 행동이 영향을 미친다. 질문하는 리더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