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교육, 성숙한 시민을 기르다 - 현지에서 바라본 독일 공교육의 가치와 이상
박경란 지음 / 정한책방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나라건 교육에서는 장점과 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다른 나라의 교육이 좋다고 해서 무조건 추종해서도 안 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나라와 다른 상황이니 쳐다보지도 않는 것도 바람직한 모습이 아니다. 좋은 것은 받아들이고 우리와 알맞지 않은 것은 그렇구나라는 마음으로 가볍게 넘기면 좋을 것 같다.

교장 자격연수 중에 해외연수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나는 10월 말에서 11월 초 사이에 다녀오게 될 예정이다. 아직 가게 될 나라를 선택하지 않은 상황이다. 인근 학교 교감선생님은 5월 초에 1차 기수로 미국으로 다녀왔다고 한다. 자세하게 여쭤보지는 않았다. 다만 어느 나라에 가든 사전 공부는 해야 되지 않을까 싶어 요즘 독일에 대해 나름 책을 찾아보고 읽고 있다.

여행 관련 책들보다는 교육 또는 정치사회 분야의 책을 읽고 있다. 독일은 현재 유럽에서 가장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기반을 닦고 있는 국가이기도 하다. 난민을 가장 많이 받아들이고 있을 정도로 포용적인 정책을 펼치기도 했다. 도서관에서 찾은 책 중에 독일에서 두 명의 자녀를 키워낸 이야기가 있어 대출받아 왔다. 독일 교육, 성숙한 시민을 기르다는 책 제목이다. 내용 전반은 독일의 다양한 사회문화정치 경제 분야를 다루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를 설명하며 우리나라 교육과 다른 점들을 비교하며 설명하고 있다.

종합해서 저자가 분석한 내용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이런 것 같다. 독일 교육이 무조건 좋다는 선입견은 버려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와 학제도 다르고 각 주마다 학교 정책도 약간 상이한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교사라는 직업이 안정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우리로 말하면 기간제 교원과 같은 비정규직화되고 있는 교사의 직업적 현실로 보건대 독일에서는 교사라는 직종이 그렇게 선호되지 않다고 한다.

결국 독일 교육의 장점은 교사의 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국가 제도 전반에 있어 오랫동안 쌓아온 문화와 시민의식 토양에서 비롯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는 것 같다. 대학교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학교가 공립학교이며 학비가 무료다. 누구든지 배우고자 열의가 있으면 학비 걱정하지 않고 교육받을 수 있는 곳이 독일이다. 다만 독일도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쟁적인 분위기를 의식할 수 없는 상황이라 성적 중심으로 좋은 일자리를 얻고 있는 것이 요즘의 추세라고 이야기한다.

또 한 가지 눈여겨봐야 할 점은 초등학교 때 이미 진로가 결정된다는 사실이다.

"독일은 우리나라와는 달리 인생의 방향이 초등학교부터 결정된다. 비교적 성적이 우수한 학생의 경우 4학년 졸업 후 김나지움에 입학한다. 대학 준비학교라 할 수 있는 학교다. 표면적으로 직업에 대한 귀천과 학력차별도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지금은 달라지고 있는 추세다" (142~143쪽)

독일에 거주하고 두 딸을 대학을 보낸 한국인 이민자의 시각이다.

"어디서든 경쟁은 존재한다. 독일 교육이 여류롭고 느슨한 커리큘럼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 (16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