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 교육은 야만이다 - 김누리 교수의 대한민국 교육혁명
김누리 지음 / 해냄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세기 대표적으로 인류에게 야만적인 행위를 저지른 나라가 바로 독일이다. 히틀러의 유태인 학살은 국가적 테러를 넘어 비인간적인 모습의 끝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고 반면교사로 삼아 이런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기 위해 우리 모두가 고민해야 할 역사적 기억으로 남아 있다.

특히 자국에서 일어난 부끄러운 역사를 씻기 위해 독일은 절치부심 끝에 해결의 실마리를 교육에서 찾기 시작한 것 같다. 그 이유는 불과 한 세기가 지나가기 전에 자신의 선조들이 저질렀던 과오를 다시 밟지 않기 위해 교육의 변모를 과감히 시도했기 때문이다. 이름하에 독일의 교육혁명, 교육개혁이다.

우리가 잘 알다시피 독일의 변방 작은 시골 마을인 보이텔스바흐에서 좌우의 지식인들이 모여 일종의 정치 에티켓을 논의하고 협약을 이끌어낸 '보이텔스바흐협약'을 보더라도 독일 교육의 진가를 확인할 수 있다. 독일은 철저히 주입식 교육을 금지한다. 구구단을 외우도록 강요하는 학부모에게 경고를 날릴 정도로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학문의 원리를 자신만의 방식대로 깨달을 수 있도록 해야 된다는 교육 철학이 독일 교육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즉 비판적 사유 능력을 길러주어 권력의 독점을 철저히 경계하도록 교육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독일의 비판적 사유 능력 기르기 교육은 책 읽기에서 시작된다. 그들의 대학 입학시험인 아비투어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독서에서 시작된 깊은 사유 습관이 오랫동안 쌓이지 않으면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글쓰기 능력이 나올 수 없다. 아비 투어의 역사 시험만 하더라도 300분의 시간 안에 자신의 생각을 풀어내야 하는 고도의 지적 능력이 요구된다. 책 읽기가 아니면 불가능한 일이다.

A=B라는 식의 단답형 답을 찾아내는 교육이라든지 네 개 또는 다섯 개 중에 정답 하나를 고르라는 교육은 잠재적인 파시스트를 키워내는 위험한 행위라고 독일은 말한다. 경쟁이 발전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논리로 컴퓨터에게 채점을 일임하고 우수한 자원들은 고소득이 보장되는 의과대학에 쏠리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한국 교육과는 크게 대조되는 부분이다.

독일 교육개혁의 모토가 되었던 것이 '경쟁 교육은 야만이다'라는 말이다. 독일의 철학자 테오도 아도르노의 말이기도 하다. 경쟁은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독특한 이데올로기 즉 신념이라고 정의하며 자본의 권력에 교육이 종속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독일은 누구에게나 대학 입학이 보장되어 있다. 시기와 방법이 다를 뿐 자신이 원하는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다. 대학의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면서 경쟁 교육을 통하지 않고서도 노벨상을 다수 배출하는 교육 강국이 되었으며 무엇보다 세계적 리더 국가의 지표라 할 수 있는 포용성 지수가 난민 수용이라는 정치적 결단을 통해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타인을 이겨야만 승리를 할 수 있는 경쟁 교육에서는 나타날 수 없는 기현상이 독일에서 일어나고 있다. 정상적이고 상식적인 모습이 오히려 기현상으로 불리는 것이 오히려 이상할 정도로 지금 우리 사회는 경쟁을 우상화하고 있지 않은가 돌아볼 때다.

현재 우리나라도 의료개혁, 교육개혁 등 각 분야에서 낡은 제도를 청산하고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옷을 입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기득권의 저항이 만만치 않지만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본다. 김누리 교수의 대한민국 교육혁명에 관한 생각들이 작은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