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대전환, 학벌 없는 시대가 온다 - 7인의 전문가가 들려주는 채용과 교육에 관한 놀라운 이야기
손주은 외 지음, 교육의봄 기획 / 우리학교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는 어찌어찌 그래도 앞으로 나아간다. 견고한 벽처럼 생각되었던 일들도 시간이 지나고 뒤돌아보면 허물어지고 무너져 있음을 발견한다. 역사는 진보한다. 다만 속도가 다를 뿐. 변화의 중심에는 혁신가들이 있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걸어가는 길을 걸어가지 않고 자신의 신념과 철학을 따라 우직하게 걸어가는 이들을 통해 사회는 조금씩 변화된다.

 

19세기의 교실에서 20세기 교사들이 21세기 학생들을 가르친다는 뼈아픈 이야기가 많이 회자되었다. 교육이 바뀌지 않는 것은 대학 입시 때문이라고 말하고 대학 입시가 바뀌지 않는 것은 기업의 채용 문화가 여전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결국 끈질긴 변화를 추구하기보다 높다란 벽 앞에 주춤거리고 포기해 왔다. 이런 와중에 혁신가들이 보이지 않는 분야에서 지속성을 가지고 견고한 벽을 두들기고 미세한 금을 내기 시작했다. 튼튼한 댐도 금기 가는 순감부터 위태해지는 것처럼 기업의 채용 문화가 학벌 중심에서 역량 중심으로 전화하기 시작했다. 대전환이다. 

 

학벌이 취업을 보장하던 시기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학벌을 쌓기 위해 명문대 입학을 위한 치열한 입시가 있어왔다. 일자리가 보장되던 시기였고 대학 정원보다 입시생이 많았던 시기에 좀 더 뛰어난 인재를 채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줄 세우기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인재를 선발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검증 도구가 도입되고 실제로 학벌보다는 역량이 뛰어난 인재가 기업에 필요함을 인지한 사회적 분위기의 대전환으로 학벌은 구시대의 유물이 되어 가고 있다. 

 

교육도 변화되고 있다. 지식 중심의 점수 내기 평가 방법에서 역량 중심의 과정 중심 평가 방법으로 전환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교육을 통해 미래 인재상을 키우는 것이 목적인데 그 미래 인재상은 어떤 경험을 했는지, 어떤 성과를 냈는지, 그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하고 어떻게 협력하고 소통했는지를 겸비한 사람이다. 몇 점을 얻었는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질문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는지, 다른 사람과 협업할 수 있는 힘을 발휘하는지, 문제의식이나 공감 능력에 대한 소양을 가지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것이 미래 인재 선발의 키워드다.

 

기업의 채용 문화와 교육의 변화는 함께 가야 한다. 현실을 바꾸는 것은 주장이 아니라 데이터다. 사람을 설득하는데 필요한 것도 데이터다. 현재까지의 데이터로는 과거의 교육으로는 미래의 인재를 키울 수 없다는 점이다. 다른 사람들의 성공에 기여하는 사람, 다른 이들의 꿈에 기여하는 사람, 성장 마인드 셋으로 끊임없이 도전하는 사람이 기업에 필요한 사람이며 결국 교육을 통해 만들어내야 하는 사람상이다. 이미 기업은 대학 서열이나 성적이 일하는 능력과 상관이 없다는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학벌과 자격증이 업무 능력과 전혀 상관이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오히려 지적 겸손과 수용성이 부족한 일류대 졸업생보다 실패를 딛고 일어나며 협업할 능력을 소유한 고등학교 졸업생을 선호한다고 한다. 

 

2024년이 바야흐로 문을 열었다. 과거의 교육 방식, 일하는 방식으로는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없다. 교육의 봄을 이뤄내는 원년이 되길 소망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