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교육, 광장에 서다 - 검은 점들이 한목소리로 외치는 교육 개혁
실천교육교사모임 지음 / (주)학교도서관저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 교육은 갈수록 교육보다 행정에 치중하고 있다. 교원의 증가율보다 교육청 일반직의 증가율이 높다는 통계만 보더라도 교육 당국은 교실보다는 교육청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나 싶다. 학생수의 감소로 교원의 수를 늘릴 수 어렵다는 논리라면 당연히 일반직의 수도 줄여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이치인데 말이다. 급격한 시대의 변화로 학생과 학부모의 기대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수십 명의 아이들을 한 교실에 몰아 놓고 가르치던 시대는 과거의 산물이다. 학생 수에 따라 교원 수급, 교육 재정을 끼워 맞추기보다 다양화된 사회에 걸맞게 새로운 시각으로 교육을 바라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열악한 교육 환경 속에서도 교육이 지탱해 왔던 것은 최소한의 교육에 대한 존중과 예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나이를 불문하고 일선의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학교에 대한 존경심이 남아 있었던 때에는 콩나물시루와 같은 교실에서도 분명히 교육은 진행되어 왔었다. 학생을 맡아 수업과 생활지도를 하고 있는 교사에 대한 신뢰가 있었기에 열정과 소신을 가지고 교육을 실천해 올 수 있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신뢰는 땅에 추락했고 교사를 상대로 고소와 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이유는 딱 하나다. 자신의 자녀가 손해를 보고 상처를 입었다는 극히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서 말이다. 부끄러운 사실은 우리나라 현재의 법도 교사의 손을 들어주기보다 터무니없이 주장만 내뱉은 소수의 몰지각한 학부모님이 악용하기 쉽게 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교사에게는 정치적 중립을 지키라는 무언의 압박이 있다. 교사는 지금까지 학교의 현장의 소리를 부르짖지도 못했다. 사명감이라는 누구도 알아주지 않는 윤리적 책임으로 교단을 지켜왔다. 사회는 학교를 자신의 욕구를 대리 만족시켜 주는 장소로 생각한다. 교사는 언제라도 부르면 달려와주는 배달원 취급을 하고 있다. 수면 상으로 드러나지 않았지만 수많은 교사들이 보호받지 못한 환경 속에서 교육을 해 오고 있다. 교사들이 검은 점들이 되어 광장에 모인 이유는 딱 하나다. 제대로 교육하고 싶다는 의지다. 소신껏 교육할 테니 최소한 법적 보호 장치를 마련해 달라는 얘기다.  

 

권리를 누림에 있어 반드시 병행해야 하는 일이 책임이다. 권리와 의무는 공존해야 빛을 발한다. 교사의 권리도 마찬가지다. 교육을 할 수 있는 권리와 함께 교사의 의무를 다해야 한다. 교육의 한 주체라 불리는 학부모도 마찬가지다. 학교 구성원들은 각자 맡은 역할을 법적인 보호를 받으면서 권리와 의무를 함께 해 나가야 한다. 특히 나와 같은 학교 관리자는 시대적 변화에 발맞추어 리더십의 방향을 수정해 가야 한다. 지시와 통제는 형식적이며 일회적인 효과만 나타날 뿐이다. 자발성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학교 내 분위기를 조성해 가야 하며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소통의 자리에 나서야 한다. 상명하달식 시스템에 의한 학교 운영이 아니라 교직원들과 논의와 소통을 통해 함께 운영해 가는 학교 시스템을 구축해 가야 한다.  

 

갈 길이 멀수록 한 발자국을 발을 떼는 것이 중요하다. 보이지 않는 길이라고 해서 멈춰서는 안 된다. 우리는 완벽하지 않다. 실패를 통해 방법을 찾는다. 모두가 똑같을 수 없다. 생각이 다르다고 경멸해서도 안 된다. 학생, 학부모, 교직원이 함께 할 때 교육이 변화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